[객석] ‘나이’가 기준이 되는 세상

입력 2017-01-25 10: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덱스루트 코리아 이사

나 : “이번에 해외마케팅 쪽 사람을 모집하고 계시죠? 좋은 후보자가 있어 전화를 드렸습니다.”

기업 담당자 : “그래요?”

나 : “네, 그런데 연배가 조금 있으세요.”

기업 담당자 : “몇 살인가요?”

나 : “62년생이세요. 하지만 역량도 있으시고….”

기업 담당자 : “안 되겠는데요. 저희 이사님이 63년생이신데요, 45세 이상은 어렵습니다.”

익숙한 전화를 끊고 나니 뭔가 허전하고 불쾌감이 엄습해 온다. 기업이 뭘까.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집단이 아니던가? 사회적 기여의 또 다른 목적이 많이 잊혔다 해도 여전히 이윤 추구는 절대불변의 진리처럼 기업을 지배하고 있다. 그런데 왜 사람을 뽑을 때 ‘할 수 있는가’를 묻지 않고 ‘나이’만을 먼저 묻는 것일까.

기업 내 직급과 연령대의 관계를 모르지는 않는다. 그러나 너무 많은 사람들이 그 지원자가 ‘할 수 있는지’를 묻지도 않고 ‘몇 살이냐’로 서류 접수조차 하지 않는다. 기업의 채용이 ‘당신이 우리 회사에 돈을 얼마나 벌어줄 수 있는 자원이냐’를 묻지 않고 ‘당신이 상관보다 몇 살 어리냐’가 더 관건이 된다면 아무리 봐도 그다지 합리적이란 느낌은 들지 않는다.

난감하다. 구직을 원하는 고객에게 어떻게 설명할까 고민하다 전화를 드리니, 흔쾌히 이해하신다. 이것도 살짝 불편하다. 우리는 왜 이런 관행에 너무도 쉽게 넘어가는 걸까. 이미 기업이 사람을 채용할 때 나이 제한을 두는 것이 차별이라는 법률(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4조의 4(모집·채용 등에서의 연령차별 금지), 2009년 3월 22일 시행)이 나온 것이 몇 년 전인데….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이미 급속도로 진행 중이다. 2015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65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3.2%에 달했다(통계청, 2016 고령자 통계). 사실상 구직활동에 나이 제한을 심하게 받는 50대 이상 인구만 해도 2016년 9월 기준, 인구의 35.7% 수준(1841만8655명)이다. 그런데 모두 모른 체한다. 아니 당연시한다. 뽑는 이도, 뽑을 이도 나이가 들어가는데 똑같은 관행을 반복하고 있다. 도대체 스스로를 향할지도 모를 이 칼날을 언제까지 무심하게 바라봐야만 하는 것일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11% 올랐는데…개미는 ‘하락 베팅’ 삼매경
  • [트럼프 2기 한 달] 글로벌 경제, 무역전쟁 재점화에 ‘불확실성 늪’으로
  • 집안 싸움 정리한 한미약품, ‘R&D 명가’ 명성 되찾을까
  • 활기 살아나는 국내 증시…동학개미 '빚투'도 늘었다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MRO부터 신조까지…K조선, ‘108조’ 美함정 시장 출격 대기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12:3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30,000
    • +0.38%
    • 이더리움
    • 4,067,000
    • +0.99%
    • 비트코인 캐시
    • 482,700
    • +2.53%
    • 리플
    • 4,004
    • +4.35%
    • 솔라나
    • 253,900
    • +0.87%
    • 에이다
    • 1,157
    • +2.75%
    • 이오스
    • 966
    • +4.89%
    • 트론
    • 359
    • -1.64%
    • 스텔라루멘
    • 503
    • +2.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150
    • +2.14%
    • 체인링크
    • 27,030
    • +1.24%
    • 샌드박스
    • 547
    • +1.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