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0년대 초반보다 눈에 띄게 작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LG경제연구원의 ‘한국의 소득주도 성장 여건과 정책효과 제고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우리나라 노동소득분배율은 70.93%로 1993년보다 5.54%포인트 떨어졌다.
노동소득분배율은 생산활동으로 발생한 국민소득에서 노동의 대가로 분배된 소득 비중이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임금근로자뿐 아니라 자영업자가 노동으로 번 소득까지 포함했다.
산업별는 광업 분야 노동소득분배율이 35.6%로 21년 전보다 15.2%포인트 낮아졌다. 이어 제조업(46.8%) 7.93%포인트, 금융·보험(52.4%) 10.47%포인트, 도소매·음식(55.5%) 6.84%포인트 순으로 감소치가 컸다.
보고서는 “제조업이 전체 노동소득분배율 저하를 주도했다”며 “세계적으로 기술 진보, 세계화, 기업 집중화 현상 등이 노동소득분배율을 낮춘 요인”이라고 밝혔다.
특히 조선, 전자, 철강 등 산업별 상위 4대 기업의 매출 비중이 1%p 높아질 때 노동소득분배율은 평균 0.21%p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25일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 금통위원은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하고 있어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에 비해 소비가 저조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