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진이 건설회사와 시너지를 통해 원전 폐로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한반도 비핵화 흐름에 맞춰 대표적인 원전 폐로사업자로서 입지를 굳히겠다는 전략이다.
우진은 총 393억 원을 투자해 디에스티글로벌투자파트너즈사모투자합자회사(이하 디에스티글로벌)에 출자한다고 23일 밝혔다. 우진은 디에스티글로벌의 최대출자자가 된다. 디에스티글로벌은 삼부토건 지분 144만922주(지분율 7.7%)를 보유하고 있다.
앞서 삼부토건 최대주주인 디에스티로봇은 삼부토건 지분 288만1845주(15.4%)를 266억 원에 디에스티글로벌에 양도한다고 공시했다. 디에스티로봇은 삼부토건 주식이 실제 처분될 때까지 의결권을 디에스티글로벌에 위임할 예정으로 삼부토건 경영에서 손을 뗀다. 디에스티글로벌은 총 432만2767주(지분율 23%)를 보유해 삼부토건 최대주주로 올라서게 될 예정이다.
디에스티글로벌은 향후 디에스티로봇이 보유한 삼부토건 전환사채(제68회)도 인수한다는 방침이다. 전환사채를 전량 전환할 경우 지분율은 더욱 높아진다.
우진은 삼부토건과 협력해 방사능 제염 위주의 원전 폐로사업에서 시설 해체 등 확장된 범위의 다양한 폐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진은 원전용 계측기 전문기업으로 지난 3월 방사능 제염업체 원자력환경기술개발(NEED) 지분을 인수해 국내외 원전 폐로 사업에 뛰어들었다.
관련 뉴스
삼부토건은 1948년 설립된 중견 건설사로 국내외서 토목 및 건축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로 관급 위주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 10일에는 계약금액 800억원 규모 중부내륙선 이천-문경 구간 철도건설을 수주하기도 했다.
우진은 양사간 경영 노하우 및 기술 공유를 통해 폐로사업 분야에서 상호 발전하는 모습을 기대하고 있다. 향후 일본 자회사 우진재팬을 통해 원전 해체 및 제염기술을 보유한 일본 건설사와 협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원전 폐로 시장에서 마켓리더로 부상한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컨설팅회사 딜로이트는 2030~2049년 원전 해체시장 규모가 총 185조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했다.
우진 관계자는 “원전 폐로는 시설물 철거 및 제염에서 용지 복원까지 원전 관련 기술과 공사 능력이 동시에 요구되는 사업이다”며 “삼부토건은 국내 화력발전소, 상하수도 등 시공 경험이 풍부해 원전 폐로사업에서 시너지가 예상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