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남녀 66%, 설 연휴 '명절 후유증' 겪는다…"체력 방전"

입력 2019-02-08 08: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설 연휴가 끝나고 일상으로 돌아온 사람들 10명 중 7명은 ‘명절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성인남녀 668명을 대상으로 ‘설 연휴 후유증’에 대해 조사한 결과, 66.3%가 설 연휴 이후 명절 후유증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고 8일 밝혔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74%로 남성(61.2%)보다 12%p 이상 높았다. 가장 많이 겪는 후유증으로는 ‘육체 피로, 방전된 체력’(54.6%,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계속해서 ‘집중력 저하’(43.6%), ‘당분간 연휴는 없다는 상실감’(43.3%), ‘일상으로 복귀 어려움’(37.5%), ‘불어난 체중’(25.3%), ‘카드값, 텅빈 잔고’(23.5%), ‘연휴 때문에 밀린 업무’(16.3%), ‘두통, 소화불량, 어깨통증 등 질병’(14%), ‘명절에 생긴 배우자, 가족과의 갈등 지속’(10.2%)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연휴 후유증을 겪는 이유로는 ‘생활패턴이 불규칙해져서’(42.2%,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수면 부족 때문에’(32.3%), ‘연휴로 밀린 업무를 처리해야 해서’(31.6%), ‘과도한 지출 때문에’(26.9%), ‘장거리 이동을 해서’(21.2%), ‘연휴가 너무 길어 적응이 어려워서’(19.6%) 등의 이유를 들었다.

응답자들은 후유증이 평균 4일 정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자세히 보면 ‘2일’(28.9%), ‘3일’(27.3%), ‘7일’(14%), ‘5일’(11.7%), ‘1일’(7%)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연휴 후유증을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가장 많은 65.9%(복수응답)가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선택했다. 이어 ‘규칙적인 생활’(33.9%), ‘그냥 시간이 흘러가기를 기다림’(33%), ‘운동’(25.7%), ‘연차, 반차 활용’(24.2%), ‘마인드 콘트롤’(23.9%), ‘업무에 더욱 몰입’(15.1%) 등으로 후유증을 극복한다고 답했다.

반면 휴가 후유증을 겪지 않은 응답자(225명)는 그 이유로 ‘무리하지 않았기 때문에’(44%, 복수응답), ‘충분한 재충전의 시간을 가져서’(28%), ‘명절 동안 즐거운 시간을 보내서’(20.9%), ‘연휴가 길어 여유로워서’(20.9%) 등을 선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621,000
    • -1.11%
    • 이더리움
    • 4,165,000
    • +2.43%
    • 비트코인 캐시
    • 494,800
    • -0.98%
    • 리플
    • 4,003
    • -2.58%
    • 솔라나
    • 272,000
    • -5.26%
    • 에이다
    • 1,225
    • +5.42%
    • 이오스
    • 961
    • +0.31%
    • 트론
    • 367
    • +0.55%
    • 스텔라루멘
    • 509
    • -1.9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850
    • -0.25%
    • 체인링크
    • 29,100
    • +2%
    • 샌드박스
    • 602
    • +1.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