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기자들과 가진 자리에서 "장래 발생할 수 있는 주택 부족 문제를 대응하기 위해 주택공급은 꾸준히 돼야한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고 밝히고 이에 따라 지분형 주택과 분양가 상한제 등 주택 관련 규제 완화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새정부 들어 '반값 아파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지분형 주택은 빠르면 7월이나 8월 중 수도권에 공급될 것으로 예측된다.
지분형 주택은 실수요자와 투자자가 자금을 공동 부담해 주택을 분양 받는 방식이다. 여기에 더해 실수요자의 경우 국민주택기금에서 절반 가량을 지원 받을 수 있어 주택 값의 1/4만 있으면 내 집을 가질 수 있다.
정 장관은 지분형 주택에 대해 "인수위 시절 내용을 들었고, 구체적인 공급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미분양 대책에 대해서도 '추가 대책을 고려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정 장관은 최근 심화되고 있는 부동산 시장 침체와 각종 규제에 따라 건설업계의 주택공급이 크게 줄어들고 있는 것을 주목하고, 규제 완화 등 주택 공급 활성화 대책을 펴낼 것임을 시사했다.
정 장관은 "현재 상황은 민간 건설사들이 아파트를 짓기 꺼려하는 상황"이라고 전제한 뒤 "주택시장 동향이나 종합적 공급상황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필요할 경우 2차 미분양 대책이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주택건설은 공공과 민간이 동시에 해야할 일인 만큼 민간 부문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말해 친 건설업계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어 정 장관은 양사 임직원의 감정싸움으로까지 번진 주토공 통합 문제에 대해서 "아직 답변하기는 이르다"고 말해 주토공 통합 문제는 장기화 될 전망을 낳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