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 19일 기준 0.02%를 상승했다. 전 주와 동일한 오름폭이다.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영향 등으로 급등했던 일부 재건축 단지 가격이 하락했지만, 인기 지역의 신축 단지와 역세권 아파트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지난주와 같은 오름세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강북 14개구가 0.03% 상승했다. 마포구가 공덕·상수동의 역세권 아파트와 인기 단지에 힘입어 0.05% 올랐다. 종로구(0.04%)는 무악·창신동 등 도심권 직주근접 수요가 많았다. 동대문구(0.02%)는 청량리역세권 등 주거환경 개선의 기대감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강남권은 11개구가 0.02% 오르며 지난주(0.03%)보다 상승폭이 둔화됐다. 서초구와 강남구는 각각 0.04%, 0.02% 올랐다. 두 지역 모두 전주보다 0.01%포인트 하락했다. 송파구와 강동구는 모두 0.02% 상승하며 지난주와 같은 오름폭을 보였다. 대치동 은마아파트와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강동구 둔촌주공 아파트 등 대표적인 재건축 단지들이 하락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서울 아파트값이 오름세를 보인 것과 달리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 하락했다. 수도권(0.00%→0.00%)은 보합을 유지했지만, 지방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7% 하락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대전(0.12%)과 전남(0.01%)은 상승한 반면 강원(-0.23%)·제주(-0.15%)·경남(-0.15%)·경북(-0.13%)·충북(-0.13%)·전북(-0.11%)·울산(-0.09%) 등 대부분의 지역이 하락했다. 경기도(-0.01%)는 서울 접근이 양호하거나 정비사업, 교통망 확충 등 호재가 있는 지역은 상승한 반면 신규 입주 물량이 많은 지역은 매물 적체로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3% 하락했다. 수도권(0.01%→0.02%)과 서울(0.04%→0.05%)은 상승폭이 확대됐지만, 지방(-0.07%→-0.07%)은 전 주와 같은 하락폭을 보였다.
서울 전세가격은 0.05% 오르며 지난주(0.04%)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신규 입주 물량이 소진되거나 정비사업 이주수요로 매물이 부족한 지역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최근 전셋값이 많이 올랐던 서초구(0.18%)는 이주수요로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주(0.20%)보다는 오름폭이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