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요가복 업체 뮬라웨어 주4일 근무 도입 3주년 ‘워라벨이 불러온 착한 시너지’

입력 2019-11-28 09: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뮬라웨어, 주 4일제 시행 3주년 맞이 '대대적 감사 이벤트' 진행

프리미엄 요가복 업체 뮬라웨어의 조현수 대표는 지난 2017년 '옷을 만드는 사람이 행복하게 옷을 만들어야 입는 사람도 행복해진다'는 모토를 바탕으로 직원들의 주 4일 근무 규정을 도입했다. 직원들에게 워라밸로 안정적이고 행복한 근무환경을 조성한다는 목적이었다.

세계 요가복 시장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한 시장으로 인식되고 있는 국내 요가복 시장에서 주 4일 근무라는,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도 그 예를 찾아보기 쉽지 않은 근무제도를 도입한다는 것은 단순한 실험을 넘어 모험에 가까운 일이었다.

국내에도 일과 생활의 균형을 추구하는 워라밸 (Work-life balance) 문화가 확산되고 있고, 최근 주 4일 근무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 직장인들에게 주 4일 근무는 상상 속에만 존재하는 개념이었다.

하지만 뮬라웨어 직원들에게는 이미 3년전 현실이 됐고 지난 3년간 성공적인 제도 운영으로 워라벨의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 해나가고 있다.

도입 초기 획기적이라는 반응과 기대감 이면에 생산성 저하 등에 대한 우려 역시 만만치 않았다. 하지만 뮬라웨어는 직원이 자신들의 업무에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휴무 운영에 관한 규칙을 도입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업무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주 4일 근무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이슈에 대해 발 빠르게 제반 사항을 정비해 나갔다. 그 결과 뮬라웨어는 직원들의 만족도와 생산성, 그리고 업무 능률을 최상의 상태로 끌어내는 성과를 이뤄가고 있다.

직원들이 워라밸이 보장되는 업무환경에서 일하고 있다는 자부심을 갖고 업무에 임하면서 업무 효율에서도 높은 효과를 보여줬다. 뮬라웨어의 연매출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부분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

뮬라웨어에서 카피라이터로 일하고 있는 A 씨는 "늘 신선한 자극과 새로운 영감을 찾아 헤매는데요. 휴무일과 주말 동안 여러 가지 활동을 하며 받은 다양한 영감들은 업무에 좋은 자양분이 된다"고 큰 만족감을 나타냈다.

한편, 브랜드 론칭 이후 자체 디자인센터를 통한 제품 기획으로 연 300억 원의 매출을 유지하고 있는 뮬라웨어는 주 4일제 시행 3주년을 기념하는 감사 이벤트를 28일부터 12월 1일까지 대대적으로 진행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삐거덕대는 국정협의회…반도체법 다시 표류 위기
  • 무르익는 한동훈 재등판...숨은 걸림돌 ‘셋’
  • 하정우ㆍ김남길, '브로큰'으로 뭉쳤다…미스테리 곁들인 '복수 느와르' [시네마천국]
  • 정시 마지막 기회는...“추가합격·추가모집 잘 살펴보세요”
  • 태백·양주서 펼쳐지는 겨울 파티…홍성은 새조개 축제로 북적 [주말N축제]
  • “명문 학군 잡아라”…학군지 아파트 몰리는 수요자들
  • 예전만큼 타임머신 성능 안 나오네…신규 도입 시스템 혹평 받는 ‘문명7’ [딥인더게임]
  • 트럼프, 파나마 운하에 집착했던 진짜 이유
  • 오늘의 상승종목

  • 02.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382,000
    • -0.33%
    • 이더리움
    • 4,040,000
    • -3.35%
    • 비트코인 캐시
    • 490,600
    • -0.69%
    • 리플
    • 3,679
    • +4.76%
    • 솔라나
    • 297,400
    • +0.24%
    • 에이다
    • 1,071
    • -2.28%
    • 이오스
    • 903
    • +1.01%
    • 트론
    • 360
    • +2.56%
    • 스텔라루멘
    • 500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800
    • +0.5%
    • 체인링크
    • 27,830
    • -3.6%
    • 샌드박스
    • 571
    • -1.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