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종심소욕(從心所欲)/골디락스 경제

입력 2020-03-09 0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성권 국민대 객원교수

☆ 김중업(金重業) 명언

“건축은 인간에의 찬가(讚歌)입니다. 알뜰한 자연 속에 인간의 보다 나은 삶에 바쳐진 또 하나의 자연입니다.”

건축가. 프랑스 문화부 고문 건축가, 미국 로드아일랜드와 하버드대 교수로도 크게 활약했다. 그의 설계 작품으로는 ‘서강대 본관’ ‘주한 프랑스대사관’ ‘제주대 본관’ ‘삼일로 빌딩’ ‘육군박물관’ 등이 있다. 오늘은 그의 생일. 1922~1988.

☆ 고사성어 / 종심소욕(從心所欲)

‘마음대로 한다’는 뜻. ‘종심’은 70세를 비유하는 말.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에 나온다. 공자(孔子)가 “나이 일흔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하여도 법도를 넘어서거나 어긋나지 않았다[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고 한 데서 유래한다.

☆ 시사상식 / 골디락스 경제

골디락스는 골드(gold·금)와 락(lock·머리카락)의 합성어로 영국 동화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에 나오는 금발소녀 이름. 골디락스는 숲속에서 곰이 끓여 놓고 나간 ‘뜨거운 수프, 차가운 수프, 적당한 수프’ 중 적당한 온도의 수프로 배를 채우고 기뻐한다. 뜨겁지도 않고 차갑지도 않고 고성장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 압력이 없는 건실하게 성장하고 있는 이상적 경제 상황을 뜻한다.

☆ 우리말 유래 / 엿 먹어라

상대를 골려줄 때 쓰는 속어. ‘엿’은 남사당패가 쓰는 여자 성기를 가리키는 은어. 여성과 성관계를 잘못 맺다가는 변을 당한다는 뜻이다.

☆ 유머 / 듣는 것과 보는 것 차이

손수레 뒤를 아들이 힘겹게 밀며 언덕을 오르자 이를 본 두 학생이 거들었다. 뒤의 학생이 “앞에 끄시는 분이 아버지니?” 하고 묻자 “아니”라고 답했다. 앞에 돕던 학생이 “뒤에 있는 아이가 아들인가요?” 라고 묻자 “그렇다”고 했다. 뒤의 학생은 둘 관계가 궁금해졌다. 앞에 가서 보니 끄는 이는 아이의 어머니였다.

채집/정리: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故장제원 전 의원, 빈소는 부산 해운대백병원…오늘부터 조문
  • ‘폐암 신약 찾아라’…국내 바이오텍 초기 임상 활발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날씨] 전국에 내리는 봄비…수도권ㆍ충남은 초미세먼지 주의보
  • 윤석열 탄핵 선고 앞둔 헌재·안국역 주변 도로통제 현황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11: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756,000
    • +1.92%
    • 이더리움
    • 2,783,000
    • +2.2%
    • 비트코인 캐시
    • 451,000
    • -0.33%
    • 리플
    • 3,106
    • -0.42%
    • 솔라나
    • 184,600
    • -0.86%
    • 에이다
    • 989
    • -0.2%
    • 이오스
    • 1,010
    • +11.11%
    • 트론
    • 354
    • +0.85%
    • 스텔라루멘
    • 394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700
    • -1.29%
    • 체인링크
    • 20,290
    • +0.1%
    • 샌드박스
    • 396
    • -2.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