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환 금융위원회 위원은 19일 "정부는 자본시장통합법 개정을 통해 자산운용사에 대해서만 헤지펀드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해 채권시장의 수요자가 다변화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라며 "자산유동화법을 활용한 구조화 커버드본드발행도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김 위원은 한국증권업협회와 한국증권학회 주최로 열린 '신상품 도입을 통한 채권시장 활성화 전략'심포지엄에 참석해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우리 채권시장은 아직 위험에 대한 다양한 선호를 가진 수요기반이 미흡하고 상품의 다양성도 부족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채권시장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장 참여자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채권상품의 도입이 절실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정부도 채권시장의 일시적 유동성 부족과 마찰적 시장실패를 보완하기 위해 대책을 검토 추진중"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재정자금이나 연기금들이 회사채 투자 물량을 급격히 회수하는 일이 없도록 관계부처와 협조하고 회사채펀드 등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펀드평가제도 등 제도적 보완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채권시장의 활력을 되찾는데 중요한 것은 시장 참여자들 스스로 창의와 혁신에 기반해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