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스피드 주택 공급 실행계획 마련하라"

입력 2021-04-12 17:39 수정 2021-04-12 17: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오전 중구 태평로 서울시청에서 코로나19 관련 기자 브리핑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오전 중구 태평로 서울시청에서 코로나19 관련 기자 브리핑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오세훈 서울시장이 ‘스피드 주택 공급’을 위한 실행계획을 주문했다. 오 시장이 민간 재건축·재개발 활성화를 공약으로 내건 만큼 서울시는 관련 규제 완화 작업에 본격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 오 시장은 이와함께 집값 상승 우려 지역에 대한 방지책 마련도 지시했다.

12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 시장은 이날 주택건축본부로부터 첫 업무보고를 받은 뒤 스피드 주택 공급 실행계획을 위한 법규와 절차 등을 점검할 것을 주문했다. 시가 자체적으로 빠르게 추진할 수 있는 업무 파악 역시 지시했다.

오 시장은 이번 서울시장 선거전에서 스피드 주택 공급을 재차 강조했다. 정부의 규제로 가로막힌 재개발·재건축을 정상화해 5년간 36만 가구를 공급한다는 구상이다. 재개발·재건축 활성화를 통한 18만5000가구를 비롯해 △상생주택 7만 가구 △모아주택 3만 가구 △기존 서울시 공급계획으로 7만5000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부동산 가격 상승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한 방지책 마련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 시장의 당선으로 장기간 막혔던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활성화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일면서 벌써 재건축 추진 단지를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들썩이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주택공급 관련해 부동산 가격 상승 우려가 있는 지역들은 방지대책을 어떻게 수립할지 세심하게 고민해달라는 지시가 있었다"며 "주택공급에 신호가 갈 수 있는, 신중하고 신속하게 공급할 방법을 추가로 파악할 것을 주문했다"고 덧붙였다.

공시가격 논란에 대해선 "재조사를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오 시장은 국민의힘·서울시 부동산정책협의회에서 “(공동주택) 공시가가 너무 급격히 상승해 60가지 넘는 재산상 부담이 생겼다”며 “집값 상승에 따른 보유세를 완화하기 위해 지방세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공공에 방점을 찍었다면 서울시는 민간 방식의 길을 열어주는 방향이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이 있었다"며 "서울시는 민간 재개발 활성화 부분에 대한 정책 개발을 계속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 시장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와 관련해선 추후 대안을 마련해보라는 유보적 입장을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마운트곡스 악재에 '쇼크' 온 비트코인, 6만1000달러로 소폭 상승 [Bit코인]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110,000
    • -1.42%
    • 이더리움
    • 4,782,000
    • -0.62%
    • 비트코인 캐시
    • 533,500
    • -2.91%
    • 리플
    • 665
    • -1.48%
    • 솔라나
    • 193,100
    • -0.57%
    • 에이다
    • 548
    • -1.26%
    • 이오스
    • 815
    • -0.37%
    • 트론
    • 174
    • +0.58%
    • 스텔라루멘
    • 129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900
    • -0.93%
    • 체인링크
    • 19,870
    • -1.05%
    • 샌드박스
    • 474
    • -0.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