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장무상망(長毋相忘)/스크루플레이션 (4월22일)

입력 2021-04-22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성권 국민대 객원교수

☆ 안셀 애덤스 명언

“내가 의도하는 것은 관객에게 의미가 있을 것 같은 자연에 대한 직관적인 관찰을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보여주는 것이다.”

요세미티 계곡의 참모습을 세세히 사진으로 보여준 미국의 사진작가. 근대 풍경 사진의 원조 격인 그는 사진 집단 f-64 그룹 창립전을 개최하여 사진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빛을 이용하여 자연의 그림 같은 모습을 찍는 사진으로 유명한 그의 대표작은 ‘뉴멕시코주 에르난테스의 월출’. 오늘 그는 생을 마감했다. 1902~1984.

☆ 고사성어 / 장무상망(長毋相忘)

‘길이 서로 잊지 말자’라는 말. 전서(篆書)체로 쓰인 이 말은 중국 섬서성(陝西省)에서 출토된 와당(瓦當)에 새겨진 데서 유래했다. 와당은 수키와의 끝부분을 막음 하는 장식으로 우리말로는 수막새다. 설원에 토담집 한 채, 그리고 그 집을 둘러싼 네 그루의 소나무와 잣나무가 그려진 수묵화 한 점. 조선 최고의 명필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세한도(歲寒圖)에 이 인장이 찍혀 있어 유명해졌다.

☆ 시사상식 / 스크루플레이션

(Screwflation)

물가 상승과 실질임금 감소 등으로 중산층의 실소득이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돌려 조인다는 뜻의 ‘스크루(screw)’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경제가 지표상으로는 회복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중산층에게 들어오는 돈은 줄어들고 나가야 할 돈은 늘어나는 상황이 그들을 돌려 조이기 때문에 당연히 소비가 위축되고 따라서 실질적 경기는 제대로 살아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한다.

☆ 한자가 변한 순우리말 / 나중에

한자어 내종(乃終)에서 왔다.

☆ 유머 / 숙제는 누가 했나

숙제 검사하던 선생님이 “사실대로 말해, 이 숙제 누가 했니?”라고 묻자 아이가 “아빠가요”라고 대답했다. 선생님이 다시 “혼자?”라고 묻자 아이 대답.

“아니요. 제가 좀 도와줬죠.”

채집/정리: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큰손’ 국민연금 美주식 바구니 'M7' 팔고 '팔란티어' 담았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법인 가상자산 진출 '코인마켓'에 기회 …은행 진출 '마중물'
  • 故 김새론 비보에 애도 물결…"작품 속 딸로 만나 행복했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14:1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126,000
    • -1.19%
    • 이더리움
    • 4,021,000
    • -1.06%
    • 비트코인 캐시
    • 491,300
    • -2.23%
    • 리플
    • 4,066
    • -2.96%
    • 솔라나
    • 276,300
    • -5.76%
    • 에이다
    • 1,225
    • +3.73%
    • 이오스
    • 951
    • -0.73%
    • 트론
    • 366
    • +3.1%
    • 스텔라루멘
    • 516
    • -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000
    • +1.35%
    • 체인링크
    • 28,080
    • -1.23%
    • 샌드박스
    • 586
    • -0.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