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달 1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공사장 안전관리 강화 대책 발표를 하고 있다. (뉴시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1/06/20210621163100_1635036_1200_846.jpg)
서울시는 이번 주 도시계획·건축 관련 학회에 도시계획위원회(이하 도계위) 위원을 추천해달라고 요청했다. 2년 임기가 만료되거나 사의를 표명한 위원을 충원하기 위해서다.
도계위는 지방자치단체에 도시계획을 심의·자문하는 기구다. 서울시에선 도시계획 관련 고위 공무원과 자치구청장, 시의원, 도시·건축·교통·환경 등 분야별 전문가 등이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지구단위계획이나 정비계획, 대규모 건축 계획 등을 입안하려면 도계위 문턱을 넘어야 한다. 도계위가 도시·주택 정책을 좌우하는 핵심 기구로 평가를 받는 건 이런 이유에서다. 반대로 사업 계획을 심의받아야 하는 시행자에게 도계위는 7부 능선이란 악명을 얻었다. 도계위 심의를 넘기가 그만큼 까다로워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지자체장이 바뀌면 통상 지자체장과 정책관을 공유할 수 있는 인사들로 도계위가 채워졌다. 전임 박원순 시장 시절 서울시가 추진했던 도시재생 관련 전문가들이 다수 도계위에 진출했다.
관련 뉴스
이번 도계위 개편이 중요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오세훈 시장이 서울시장에 취임한 이후 도계위 면면이 바뀌는 건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이다.
지난 4·7보궐선거 과정에서 오 시장이 공약한 도시·주택 정책을 이행하려고 해도 도계위 도움을 받아야 한다. 관련 규제를 완화하거나 새로운 계획을 세울 때 도계위 심의를 거쳐야 해서다. 오 시장이 지난 선거에서 공약 전면에 내세운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역시 현실화하려면 사업장별로 도계위 심의를 받아야 한다.
도계위가 재구성되면 다음 달 공개되는 '2040 서울플랜'과 함께 오세훈 시정 도시·주택 정책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2040 서울플랜은 2040년까지 서울의 도시상을 담은 서울시 최상위 도시계획이다. 오 시장이 선거 과정에서 공약했던 '35층 룰'(주거지역에서 순수 주거용 건물은 35층을 넘지 못하도록 한 규정) 폐지 등 도시·주택 관련 규제 완화 방안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새로 구성되는 도계위는 이를 구체화하고 실현하는 역할을 할 공산이 크다.
서울시 관계자는 "3~4배수 추천을 받아 내부 규정대로 전문성 등을 고려해 위원을 모실 것이다. 언제부터 새 위원이 활동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