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휴양과 레저, 문화가 공존하는 마리나'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에 등록된 레저선박은 2만8876척으로 레저선박 1척당 인구 비중은 1788명에 달했다. 이는 캐나다 4명, 스웨덴 14명, 미국 25명, 일본 444명, 이탈리아 621명과 비교해 크게 미흡한 수준이다.
마리나는 2019년 기준 37개로 미국 1만2000개, 스웨덴 1500개, 캐나다 1472개, 일본 560개, 이탈리아 545개에 크게 못 미친다. 마리나(Marina)란 요트를 포함한 해양레저선박을 계류·보관시설과 연관된 서비스 시설을 포함한 해양레저의 복합기지를 말한다.
세계해양산업협회(ICOMIA)에 따르면 세계 해양레저선박 수는 약 3000만 척, 마리나는 3만 개, 시장 규모는 500억 달러에 달한다. 이중 북미(70%)와 유럽(15%)이 시장의 85%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해양레저 관련 회사는 10만 개, 종사자는 100만 명, 총매출은 1000억 달러에 달한다.
우리나라도 해양수산부가 2009년 마리나항만의 조성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지난해 2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까지 고시하면서 해양레저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2차 항만 기본계획을 보면 전국에 70개(내수면 15개 포함)의 마리나항만 구역을 지정했다.
하지만 국내 마리나 이용형태분석을 보면 마리나 정책이 시행된 이후 마리나 시설을 방문한 경험은 16.0% 수준으로 대중적인 관광활동 목적지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마리나 관련 산업 육성도 지지부진하다. 최근 10년간 범선(요트)과 모터보트의 수출액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관세청에 따르면 요트 수입은 10년 평균 354만8000달러, 수출은 34만7100달러에 불과하다. 10년 중 6년은 수출액이 아예 없다. 이러다 보니 2020년 기준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아 무역수지 적자 폭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선진국의 경험을 따른다면 3만 달러 시대에는 골프에서 수상레저로 레저 패턴이 바뀌었다"며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국은 수상레저의 최적 환경을 지니고 있고 게다가 세계 최고의 조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선진국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