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21개 자치구가 '숙직전담 직원'을 79명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채용 절차를 진행하는 곳을 포함하면 올해 숙직전담 직원은 85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개별 구청에서도 이를 바라보는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16일 각 자치구에 따르면 강남구, 강서구, 마포구, 송파구를 제외한 21개 자치구는 '시간선택제ㆍ임기제'와 '기간제 근로자'로 숙직전담 직원을 채용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강동구 8명 △영등포구 7명 △도봉구ㆍ동대문구ㆍ동작구ㆍ중랑구 각각 6명 △관악구ㆍ금천구ㆍ서초구ㆍ성동구ㆍ성북구ㆍ종로구 각각 4명 △용산구 3명 △강북구ㆍ구로구ㆍ광진구ㆍ노원구ㆍ서대문구ㆍ중구 각각 2명 △은평구 1명이다. 양천구는 6명을 채용할 예정이다.
숙직전담 직원은 공무원과 함께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 △종합상황실 민원응대 및 처리 △청사순찰 및 방호 △현장 민원처리 및 차량운행 등 업무를 수행한다.
공직사회에서 '남녀 통합 당직'이 시행된 후 숙직전담 직원을 채용하는 자치구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그간 안전과 양육 등 이유로 남성은 숙직, 여성은 일직을 섰지만 남녀평등에 대한 요구가 생기면서 여성 공무원도 숙직에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남녀 통합 당직'에 따라 여성 공무원도 숙직에 포함했으나 구청에서 남성 공무원 비율이 낮은 현실을 고려해 전담 직원을 채용했다.
올해 서울 자치구 소속 숙직전담 직원 수는 4년 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2018년 30명에 머물렀던 숙직전담 직원은 2019년 63명, 2020년 54명, 지난해 66명으로 늘었고, 올해 처음으로 80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관련 예산도 지난해 18억 원가량 투입됐다. 올해는 19억~20억 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생활임금 수준에 맞춰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현재 근무하는 직원 79명 가운데 77명은 남성이다. 영등포구가 유일하게 여성 2명을 채용했다. 성별을 구분해 채용하지는 않았지만 지원자 대부분이 남성이라는 것이 자치구들의 전언이다.
구청 관계자들은 "과거 공직 경험이 있거나 퇴직한 사람들이 주로 숙직전담 직원 채용에 응시한다"며 "날을 새는 일이라서 그런지 채용 과정에서 성별을 구분하지 않는데도 남성 지원자가 몰린다"고 말했다.
숙직전담 직원을 두고 자치구에서는 "세금 낭비다", "새로 고용하는 게 맞다"는 등 다양한 평가가 나온다. 자치구 소속 한 공무원은 "당직에서 남녀 비율을 맞추자고 했더니 얼마 지나지 않아 전담 직원을 채용했다"며 "숙직도 공무원 업무 중 하나인데 세금으로 이래도 되는지 모르겠다. 야간 민원의 외주화"라며 볼멘소리를 냈다.
또 다른 공무원은 "주간 업무에 집중하기 위해서 공무원이 숙직에 최소한으로 참여하는 게 좋다"며 "날 새고 퇴근해야 하지만 일이 많다 보면 집 가기도 눈치 보이는 게 사실"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은퇴한 사람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서울시 본청은 숙직전담 직원이 따로 없다. 서울시는 남성 공무원만 하던 숙직을 2019년부터 여성 공무원으로 확대했다. 당직실 휴식공간을 남성과 여성용으로 나눴다. 당직 근무 제외 대상자를 기존 임신(출산)자에서 남녀를 불문 만 5세 이하 양육자, 한부모가구 미성년자 양육자로 넓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