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 이후 배달 수요 폭증에 힘입어 치킨 브랜드 5000억 원 시대가 열렸다. 교촌치킨이 지난해 사상 최고치 매출을 기록한 데 이어 bhc치킨, 제너시스BBQ도 매출 호조를 보인 것으로 추산되면서 치킨 '빅3'간 추격전도 뜨겁다.
일각에서는 닭고기 담합으로 인한 인상 효과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지만, 육계협회는 치킨 가격은 육계보다 배달비 비중이 더 높다며 억울하다는 입장을 호소했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지난해 가맹점 폐점률이 0%를 기록하며 연간 매출 5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직전 연도와 비교해 13.4% 늘어난 5076억 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전년 수준인 410억 원이며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25.2% 증가한 298억 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창립 31주년을 맞은 교촌치킨은 작년 말 기준 1337개의 매장을 보유한 가운데 코로나19 발생 첫 해였던 2020년 폐점매장 1개, 지난해에는 0개를 기록할 정도로 프랜차이즈 사업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 매출의 95%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해당 사업부문의 지난해 매출은 직전 연도와 비교해 12% 늘었다. 해외사업, 신사업도 각각 전년 대비 40%, 66% 가까이 늘면서 순항하고 있다.
관련 뉴스
올 1분기 전망도 '맑음'이다.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올 1분기 교촌에프앤비의 예상실적은 매출 1400억 원, 영업이익은 12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3%, 12% 늘 것으로 추정된다"라면서 "차별화된 수제 맥주 사업으로 가맹사업과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며, 중동지역에서 지난해 3호점까지 문을 열며 중장기적으로 100호점 오픈을 목표로 두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제너시스BBQ그룹 역시 지난해 연간매출액 4000억 원을 바라보고 있다. 특히 윤홍근 BBQ 회장이 올해 베이징 동계올림픽 선수단장으로 활동하면서 황대헌, 최민정, 차준환 등 주요 올림픽 스타들이 치킨을 언급하고 윤 회장이 '치킨연금'이라는 통 큰 선물로 화답하는 등 올림픽 특수효과를 두둑히 누렸다.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올 2월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40%나 뛰었다.
bhc치킨도 지난해 연 매출이 5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교촌치킨과의 매출 격차도 관전 포인트다. 2020년 매출액 4004억 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bhc치킨은 1위 교촌치킨(4476억 원)과 격차를 470억 원대까지 좁힌 바 있다.

일각에서는 치킨 프랜차이즈의 매출 호조가 육계 가격 담합행위로 인한 인상 효과가 아니냐는 비난도 나온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전날 치킨, 닭볶음탕에 사용되는 육계 신선육 가격, 출고량을 담합한 하림, 마니커 등 16개 업체에 1700억 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했다.
공정위는 전체 육계 신선육 시장점유율 77% 이상을 차지하는 이들 업체는 12년에 걸쳐 도계비 공급가, 운송비를 인상하고, 상호 간 할인 경쟁제한, 심지어 병아리 수까지 제한하는 등의 담합 행위를 벌였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육계협회는 입장문을 내고 즉각 반발했다. 육계협회 관계자는 "마치 일반 소비자 접점에 있는 치킨 값 상승이 마치 이번 행위로 인한 것처럼 오인할 가능성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라면서 "프랜차이즈 치킨 가격에서 닭고기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20% 정도이고, 배달앱 수수료나 배달 운임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축산물 특성상 성장을 중단시키거나 출하를 지연할 수 없어 임의로 생산량 조절이 어렵고 가축 질병이나 시장개방 등 다양한 외부 환경요인에 따른 가격 변동성이 커 수급 불균형에 빠지기 쉽다"라며 육계협회 회원사 13개 사업자가 지난 10년동안 발생한 영업이익을 고스란히 내놓더라도 공정위가 처분한 과징금에 턱없이 부족할 정도로 부당 이익이 없었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