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경욱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5일 최근의 원달러 환율의 급등과 관련 정부가 외환보유액 2000억달러 지키기에 얽매이지 않겠다는 뜻을 시사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의 급등 현상과 관련,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서라면 정부는 일각에서 제기하는 외환보유액 2000억달러 마지노선을 지키는데 연연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허 차관은 이날 오전 SBS라디오 '김민전의 SBS전망대'에 출연해“외환보유액에는 달러, 파운드, 유로화 등도 함께 포함돼 있어 환율 변동에 따라 그 수준이 바뀔 수 있는 것"이라며 "2000억달러 수준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단기외채가 외환보유액에 거의 육박하고 있다는 최근 파이낸셜타임스 등 외신 보도에 대해서 그는 우리나라의 외환보외환보유액 현황 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과도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2월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2015억달러 수준이고, 단기외채와 유동외채를 합치면 1900억달러 정도 되지만 이중 400억달러는 조선업계나 해외 펀드 투자의 환헤지용이라 실제 갚을 필요가 없는 자금이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외환보유고 외에도 미국, 일본, 중국 등과 각각 300억달러씩 총 9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를 체결했고, 은행이나 민간 기업에서도 외화를 들여오고 있다는 점에서 외화 유동성 문제는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허 차관은 환율 시장 개입에 대한 정부 방침에 대해선 "환율은 시장 수급을 반영해 자율을 우선시 해야한다. 인위적으로 움직이면 부작용이 있지만 과도한 반응에 따른 쏠림 현상이나 환투기부분에 대해서는 언제라도 외환당국은 시장에 들어가 미세조정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이틀동안 정부가 환율 안정을 위해 15억 달러 이상의 시장개입을 하지 않았냐는 외환시장의 분석에 대해선 "그 부분은 확인해 줄 수 없다"며 구체적 개입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아울러 달러에 이어 엔화의 상승 현상에 대해 "엔화대출을 받은 업체들이 고통스러운 것은 이해하지만 우리나라 수출 주력 업종이자 일본과 직접 경쟁 산업인 자동차, 조선, 반도체 등에서는 세계 시장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는 긍정적인 면도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