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들의 지난해 경영악화로 인해 올해 신용평가등급 하락을 우려하고 있다. 이는 신용평가 등급 하락이 공공공사 입찰에 참가하는데 제약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11일 건설업계와 신용평가기관에 따르면 이달 들어 2월 결산 건설사들의 신용평가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결산자료를 근거로 신용평가가 이뤄지면서 대거 신용등급 하향을 우려하고 있다.
신용평가기관 관계자는 "중소건설사를 중심으로 대부분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되고 있다"며 "경기침체에다 건설사가 가장 상황이 안 좋기 때문에 이전에 받은 등급에서 더 하락하는 건설사들이 생길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건설사들의 결산서를 분석 중" 이라며 "이르면 4월 15일 경에 신용등급이 발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소건설사들이 신용등급이 하락할 경우 공공공사는 물론, 공모형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개발사업이나 민자사업 참여가 불가능해진다.
공공공사의 경우 현행 국가계약법상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PQ)심사시 500억원이상 공공공사는 BBB-(기업어음 A3-), 500억원 미만은 BB-(기업어음 B0)이상의 등급을 요구하고 있다. 또 PF개발사업 등도 신용등급 하락으로 지급보증이 불가능해 수주 참여가 사실상 봉쇄된다.
또한 100억원 이상 적격심사 대상공사에서도 경영상태를 신용등급으로 평가한다. 결국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적격심사 점수가 하락하기 때문에 공사수주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건설사들은 회사채나 기업어음 발행 이외에도 공공공사 입찰참가를 위해 매년 신용평가를 받아 조달청에 등록하고 있으며 조달청은 이 등급을 기준으로 입찰참가자격을 제한한다.
이와 관련 건설사 관계자는 "향후 신용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전반적으로 경제가 어렵고 신용평가기관들이 건설사들의 등급을 하향 조정하는 추세"라며 "등급이 내려가면 공공공사 입찰참가가 어려워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주가 생명인 기업에게 수주를 못하도록 발을 묶어놓는다면 이들 업체들은 퇴출 위기에 놓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