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2/10/20221013084618_1806741_918_437.jpg)
국내의 높은 가계부채 상황을 고려했을 때 한국은행의 최종 금리 수준이 예상보다 높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허정인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13일 "이번 한국은행 10월 기자회견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은 NY Fed의 R**(중립금리) 페이퍼와 관련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의 가계부채를 언급한 부분"이라고 했다.
그는 "금융 안정 요건을 고려했을 때, 일국의 중립금리는 통상적으로 평가하는 중립금리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라며 "한국 금융안정을 측정함에 있어 가계부채 규모가 큰 경제구조 특성을 고려해볼 수 있다"라고 짚었다.
정부 및 기업부채가 많은 여타 선진국보다 한국은 가계부채 규모가 절대적으로 크고, 변동금리 대출 비율도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가계부채는 금리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가계부채가 6개월 이상 순상황기조를 나타낼 때, 민간소비는 급격히 위축된다.
관련 뉴스
허 연구원은 "따라서 금리 인상 폭이 경제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때, 주요 선진국의 75bp 인상과 한국의 50bp 인상은 그 파급효과가 엇비슷할 수 있다"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한은이 생각하는 최종 금리 수준(Terminal rate)는 예상보다 높지 않을 수 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