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엔 과감히 베팅하더니...MS, 감원 이어 정직원 임금 동결

입력 2023-05-11 17: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MS “AI 관련 플랫폼 전환 투자 위해 필요한 조치”

▲미국 뉴욕에서 시민들이 마이크로소프트(MS) 사무실 앞을 지나고 있다. 뉴욕(미국)/AP연합뉴스
▲미국 뉴욕에서 시민들이 마이크로소프트(MS) 사무실 앞을 지나고 있다. 뉴욕(미국)/AP연합뉴스

마이크로소프트(MS)가 경제적 불확실성을 이유로 정규직 직원의 임금을 동결하기로 결정했다고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사티야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사내 메모를 통해 올해 모든 정규직 근로자들의 임금을 동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나델라 CEO는 “우리는 새로운 AI 시대에서 플랫폼의 중대 변화를 주도하는 가운데 역동적이고 경쟁적인 환경과 글로벌 거시경제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임금 동결 조치 이유와 관련해 “인공지능(AI)으로의 주요한 플랫폼 전환에 투자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금을 창출하는 데 필요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미 회사가 지난해에 이미 임금을 올렸다고도 강조했다. 대신 시간제 근로자 비율을 높이는 반면 보너스와 주식 상여 프로그램은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고정비는 줄이지만 직원 보상은 이어가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또한 지난해 보너스 예산을 두 배 늘린 것과 달리 올해엔 평소 수준의 보상에 나설 것이란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나델라 CEO는 “우리는 올해에도 보너스와 주식 보상 예산을 유지할 것이긴 하지만, 작년만큼 초과 자금을 조달하지 않고, 예년 평균에 더 가깝게 책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자신을 포함해 최고경영진의 보너스 역시 지난해 비해 줄어들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최고 임원진으로서 우리는 몇 달 동안 이번 사안에 대해 가볍게 여기지 않았다”면서 “올해는 고객 수요나 노동시장, 차기 혁신 사이클에 대한 투자 등 많은 측면에서 경제적 상황이 매우 다르다”고 덧붙였다.

올해 빅테크 사이에서는 수요 감소와 경기 침체를 둘러싼 불확실성을 이유로 비용 절감 바람이 불불었다. 특히 비용 절감을 위해 MS는 물론 메타플랫폼, 아마존에 이르기까지 주요 빅테크들이 대규모 감원에 나서기도 했다.

반면 MS는 AI 부분에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MS는 최근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에 100억 달러(약 13조2800억 원)를 투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820,000
    • +0.27%
    • 이더리움
    • 4,761,000
    • -0.23%
    • 비트코인 캐시
    • 537,000
    • -1.83%
    • 리플
    • 666
    • +0%
    • 솔라나
    • 197,700
    • -0.75%
    • 에이다
    • 540
    • -1.28%
    • 이오스
    • 796
    • -3.28%
    • 트론
    • 176
    • +1.15%
    • 스텔라루멘
    • 127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650
    • -1.6%
    • 체인링크
    • 19,060
    • -2.66%
    • 샌드박스
    • 459
    • -3.3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