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자동차업계, 부품사 ‘납품단가’ 쥐어짜기 나선다

입력 2024-02-26 15: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저가형 EV 본격 유럽시장 확대
폭스바겐 동급 차종보다 28% 수준 저렴
유럽 업체들 납품단가 인하 나설 듯
관례로 굳어진 CR, 올해부터 거세져

유럽 완성차 제조사가 중국의 저가 전기차에 맞서 ‘부품사 쥐어짜기(Squeezing)’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오토모티브뉴스 등에 따르면 유럽 자동차업체들은 올 하반기부터 부품사를 상대로 납품단가 인하를 종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매년 하반기 원가절감을 의미하는 ‘코스트 리덕션(Cost reductionㆍCR)’이 관례로 굳어진 가운데 올해는 업계의 CR가 예전 수준을 웃돌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로이터는 “전사적인 비용 절감은 물론 부품단가 인하를 위해 주요 공급사를 상대로 압박이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전망의 배경에는 중국 전기차(EV) 업체의 유럽영토 확장 본격화가 있다. 26일 개막하는 ‘2024 스위스 제네바 모터쇼’에는 완성차 업체 6곳만 참가한다. 한때 세계 5대 모터쇼 가운데 하나로 꼽혔으나 올해부터 규모가 크게 위축됐다.

정작 안방인 유럽 브랜드는 참가 업체가 2곳(르노ㆍ다시아)에 그쳤다. 미국은 전기차 업체 루시드, 일본은 이스즈가 참가한다. 자동차업계는 이 와중에서도 중국 제조사가 2곳(BYDㆍMG)이나 참가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유럽 공략에 나선 중국 EV의 가장 큰 무기는 가격경쟁력이다. 일찌감치 내수 전기차 시장에서 판매를 확대하며 부품단가를 끌어내렸던 중국차는 이를 통해 유럽시장에서도 가격경쟁력 확보에 성공했다.

실제로 BYD 영국법인이 판매 중인 크로스오버 해치백 EV ‘돌핀’의 경우 시작가격이 2만5500파운드(약 4300만 원)에 불과하다. 로이터는 “폭스바겐 경쟁모델과 비교해 약 28% 저렴한 가격”이라며 “중국 EV의 공세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토모티브 유럽은 “경쟁사를 시장에서 내쫓기 위해 가장 쉬운 방법이 납품가격 인하다. 유럽 제조사도 이런 대안을 알고 있다”며 “EV 전환이 예상보다 느리지만 중국차에 시장 주도권을 빼앗길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유럽 제조사들은 부품사의 납품단가 인하를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앞서 피아트를 비롯해 푸조ㆍ시트로엥 브랜드를 거느린 스텔란티스의 카를로스 타바레스 최고경영자(CEO)는 공급업체에 “전기차 비용의 85%가 구매 자재 가격과 관련돼 있다”라며 “(저가 전기차 공세에 맞서) 부품사들도 비용 절감에 비례적으로 부담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MG손보 청산 기로에 소비자 불안…예금자보호한도 상향 해법 되나
  • 가상자산 거래소들, 법인 코인 거래 앞두고 영업 채비 ‘한창’
  • 오늘은 4월 1일 만우절, 유래는?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김수현 "김새론과 5년 전 1년여간 교제"…미성년자 시절 교제 재차 부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11: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322,000
    • +1.28%
    • 이더리움
    • 2,724,000
    • +1.15%
    • 비트코인 캐시
    • 452,300
    • +1.16%
    • 리플
    • 3,118
    • -0.13%
    • 솔라나
    • 186,200
    • -0.69%
    • 에이다
    • 990
    • +1.43%
    • 이오스
    • 909
    • +4.6%
    • 트론
    • 352
    • +1.15%
    • 스텔라루멘
    • 395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110
    • -0.15%
    • 체인링크
    • 20,270
    • +1.76%
    • 샌드박스
    • 405
    • +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