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대선 개표 초반 ‘초박빙’…다음 달 결선투표 갈 듯

입력 2024-06-29 13: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란 대선에 출마한 보수성향 후보 사이드 잘릴리 전 외무차관. (연합뉴스)
▲이란 대선에 출마한 보수성향 후보 사이드 잘릴리 전 외무차관. (연합뉴스)

이란 대통령 보궐선거 개표가 시작된 가운데 한때 선두에 올랐던 후보가 뒤바뀌는 등 초박빙 판세가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29일(현지시간) 스푸트니크 통신은 이란 국영 IRNA 통신 보도를 인용, 838만9341표가 개표된 시점을 기준으로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의 '충성파'로 분류되는 사이드 잘릴리 전 외무차관이 350만5191표(41.8%)를 얻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유일한 중도·개혁파로 분류된 후보 마수드 페제시키안 의원은 338만9191표(40.4%)를 득표했다. 서방과의 관계 개선, 히잡 단속 완화 등을 공약으로 내건 그는 개표 초반 선두에 오르기도 했다.

이란 혁명수비대 출신 모하마드 바게르 갈리바프 마즐리스(의회) 의장과 무스타파 푸르모하마디 전 법무장관 등 나머지 두 후보는 각각 111만6659표(13.3%)와 6만2310표(0.7%)를 얻었다.

세계은행(WB) 자료 등에 따르면 이란 인구는 2022년 기준 8855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란의회연구소(IPRS)는 투표 개시 전 내놓은 보고서에서 이번 선거 투표율이 48.6%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선거에는 총 4인의 후보가 출마했고, 페제시키안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세 명은 모두 보수 성향을 띈다. 투표 전까지 현지에선 보수 진영 후보가 우세하다는 전망이 많았다.

초박빙 대결이 나타나게 된 배경에는 서방의 제재로 인한 경제난과 2022년 '히잡 시위'를 비롯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이어져 온 것이 일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란에서는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으면 다음 달 5일 다득표자 2명이 결선투표를 진행하게 된다. 이에 최종 결과가 어떻게 될지는 아직 예측하기 힘들다. 이란 반관영 메흐르 통신은 1차 투표에선 어느 후보도 과반 득표를 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했다.

에브라힘 라이시 전 대통령이 헬기 사고로 숨지면서 급작스럽게 치러진 이번 선거 과정에선 각종 사건·사고도 잇따랐다. 이란 국영TV는 파키스탄 접경지로 분리주의 무장세력의 활동이 활발한 시스탄·발루치스탄주에서 투표함을 운반하던 차량이 괴한들에게 습격당해 보안요원 2명이 숨졌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744,000
    • +1.13%
    • 이더리움
    • 2,769,000
    • -0.25%
    • 비트코인 캐시
    • 453,000
    • -2.08%
    • 리플
    • 3,144
    • -0.91%
    • 솔라나
    • 187,100
    • -1.01%
    • 에이다
    • 1,012
    • +1%
    • 이오스
    • 1,177
    • +15.62%
    • 트론
    • 351
    • +0.29%
    • 스텔라루멘
    • 398
    • -2.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840
    • -2.56%
    • 체인링크
    • 20,080
    • -3.42%
    • 샌드박스
    • 399
    • -2.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