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09/07/20090707095626_hyson0214_1.jpg)
국토해양부가 검토중인 국내 굴삭기 수급 조절이 실시되면 건설기계 생산업체들의 손실이 5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이달 중으로 굴삭기에 대한 수급조절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이에 대해 건설기계 생산업계는 국내 판매가 크게 위축될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강력하게 표시하고 있다.
7일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등에 따르면 굴삭기 수급조절이 실시될 경우, 업체들의 국내 판매가 절반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 연간 굴삭기 판매대수가 6600여대인 점과 굴삭기 가격이 평균 1억5000만원에 이른다는 점을 감안하면 굴삭기
수급 조절에 따른 생산업계측의 연손실액이 5000억원을 넘어서는 셈이다.
게다가 건설기계 생산업체들의 협력업체들도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굴삭기 수급 조절에 대한 업계의 손실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국토부의 굴삭기 수급 조절 검토에 대한 건설기계 생산업계의 집단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글로벌 경제 침체로 국내외 판매대수가 지난해의 65%수준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그나마 회복기미를 보이는 내수가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올해 건설기계 생산업계의 내수 판매 실적은 4월 들어 1718대로 본격적인 내수 침체가 시작된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5월 들어서도 내수 판매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2%가 늘어나는 등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관계자는 "굴삭기 수급조절이 실시될 경우 생산업체들 뿐만 아니라 협력업체들에게도 직접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며 "국토부에 업계의 입장을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