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뉴질랜드 정상회담에서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https://img.etoday.co.kr/pto_db/2024/09/20240904132510_2073138_600_436.jpg)
윤석열 대통령은 4일 공식 방한한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다. 두 정상은 2006년 합의해 유지해온 '21세기 동반자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는 논의를 진전시키는 데에 합의했다. 또 경제, 국방 및 안보, 국제 협력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럭슨 뉴질랜드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다. 럭슨 총리 취임 이후 첫 방한이자 뉴질랜드 총리로는 9년 만의 방한이다.
이날 두 정상은 역내, 국제무대에서의 긴밀한 협력을 강화하는 데에 뜻을 모았다. 구체적으로는 △무역 및 경제 협력 △과학, 교육 및 인적 교류 협력 △국방 및 안보 협력 △지역 및 국제 협력 등에서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무역 및 경제 협력에선 지난 10년간 쌍방향 무역이 약 두 배 증가하고, 향후 더 많은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경제안보 분야에선 정례적인 양자 경제안보대화를 출범하기로 했다. 세계무역기구(WT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다자 기구에서 긴밀히 공조하는 데에 의견을 모았고, 내년 한국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의장국 수임에 대한 뉴질랜드의 지지도 표명했다. 한국과 뉴질랜드의 자유무역협정(FTA)이 내년에 10주년을 맞는 것을 고려해 협력을 지속할 의견을 모았다.
관련 뉴스
과학, 교육 및 인적교류 분야에선 5차례 열린 한-뉴질랜드 과학기술 공동위원회를 평가하고, 첨단 과학기술 분야 협력에 뜻을 모았다. 또 뉴질랜드 총리 펠로우십 사업을 재개하고, 2024~2025년 신규 펠로우를 지정하기로 했다.
국방·안보 분야에선 △북한의 유엔 제재 회피에 대한 감시·보고 △유엔사에 대한 뉴질랜드의 기여 등 한반도 평화와 안보 증진을 위한 협력을 높이 평가했다. 지난 6월 록키위 양자 군사 훈련과 뉴질랜드 아오테아로아함의 부산 기항을 계기로 한 기회훈련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도 나왔다.
지역·국제 분야에서는 외교부 정책협의회와 경제공동위 등을 통한 고위급 대화를 활성하기로 했다.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과 북러 군사협력을 강력히 규탄하고, 북한 비핵화를 촉구하는 데에 합의했다. 북한 내 인권 증진을 위해서도 협력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이 지난달 광복사 경축사에서 발표한 '8.15 통일 독트린'의 목표에 대한 지지도 표명했다.
또 정기적인 고위급 교류 등을 통해 '인도-태평양 파트너(IP4)'의 진전을 위한 협력 기회를 환영한다는 내용도 이번 회담 내용에 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