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탄소 배출량 저감 기술로 환경 리스크 극복한다 [뉴테크]

입력 2024-09-24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자동차그룹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 도식.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 도식.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 산업계에서 ‘탄소 중립’이 주요 과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현대자동차그룹은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환경 리스크를 줄여나가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최근 양산 적용을 시작한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이 대표적이다. 이 기술은 플라스틱 복합재를 활용해 별도의 도장 작업 없이도 차량 외관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차세대 제조 공법이다.

이 공법의 가장 큰 특징은 일반적인 자동차 도장 공장을 대체하기 위해 투명층과 컬러층이 적층된 컬러 원소재를 활용해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기존에는 차체 외관을 제작하기 위해 차체와 같은 색을 입히는 도장 공정과 샌딩 작업이 필요했지만 무도장 복합재 성형기술을 활용하면 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차체 도장 공장은 자동차 제조 공정 가운데 에너지 소비량 40%를 차지하는 만큼 에너지 사용량과 탄소 배출을 모두 줄일 수 있는 셈이다.

현대차그룹은 이 기술을 현대차 전동화 비즈니스 플랫폼 모델 ‘ST1 카고’의 루프 스포일러에 최초로 적용했다. ST1 카고에 적용된 루프 스포일러의 복합 소재는 기존에 사용하던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대비 무게가 20% 이상 가벼워 전비 향상에도 도움된다.

현대차그룹은 무도장 복합소재 기술이 성형 자유도가 높고 다채로운 컬러 구현이 가능해 다품종 소량 생산이 필요한 부품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후드 패널 등과 같은 차체 부품 제작에도 적용해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킨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2040~2045년까지 주요 그룹사인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등의 사업장(또는 공급망) 탄소 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7,554,000
    • +1.8%
    • 이더리움
    • 2,794,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456,700
    • -1.53%
    • 리플
    • 3,172
    • -0.69%
    • 솔라나
    • 190,700
    • +1.01%
    • 에이다
    • 1,023
    • +0.79%
    • 이오스
    • 1,198
    • +15.97%
    • 트론
    • 352
    • +0.57%
    • 스텔라루멘
    • 402
    • -1.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360
    • -2.41%
    • 체인링크
    • 20,910
    • -0.1%
    • 샌드박스
    • 404
    • -2.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