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車보험 손해율 87%까지 치솟았다…보험료 인상 초읽기

입력 2024-10-22 14: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2일 경북 울릉군에 비가 내리며 토사가 유출되고 있다. (연합뉴스)
▲12일 경북 울릉군에 비가 내리며 토사가 유출되고 있다. (연합뉴스)

4대 손보사 모두 86% 넘겨…적자구간 진입
10월도 연휴 길어 이동량 많아 손해율 더 오를 수도

지난달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87%에 육박했다. 불볕더위에 남부지방 집중호우가 겹치면서 생긴 차량 피해와 추석 연휴 등 나들이 기간이 길어지면서 교통 이동량이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손해율 악화로 하반기 차 보험료가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2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4대 손보사(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의 차보험 손해율은 단순 평균 86.6%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82.0%) 대비 4.6%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손해율은 발생 손해액을 경과 보험료로 나눈 비율을 뜻한다. 손해율이 100%면 보험사가 100원의 보험료를 받아 100원의 보험금을 내줬다는 의미다. 마케팅 비용 등 사업비 등을 고려할 때 손해율 100%는 적자라는 얘기다. 업계가 판단하는 차보험 적정손해율은 78~80% 수준이다.

즉, 86.6%는 적자구간에 진입했다는 것을 뜻한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연말까지 사고 건수가 증가해 손해율이 지속 악화하면 추후 소비자들이 내야 하는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회사별로 보면 DB손보가 87.5%로 가장 높았다. 삼성화재(86.5%), 현대해상(86.3%), KB손보(86.0%) 순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평균 손해율은 81.1%다. 1년 전(78.2%) 대비 2.9%p 올랐다. 중소형 손보사도 누적 80%대를 넘겼다.

지난달 손해율이 급등한 것은 기록적인 폭염과 남부지방 폭우 등 기후적인 요인으로 인해 자동차 사고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긴 추석 명절 연휴 통행량 증가도 원인으로 꼽힌다.

이달에도 개천절·한글날 등 황금연휴로 인해 자동차 운행량 증가가 불가피했던 만큼 손해율 악화는 지속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지난달 남부지방 폭우 등으로 사고 건수와 사고 건당 손해액이 늘어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며 "차량부품비도 오르고 2년 연속 보험료를 인하한 것도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458,000
    • -2.44%
    • 이더리움
    • 2,695,000
    • -5.37%
    • 비트코인 캐시
    • 435,000
    • -5.93%
    • 리플
    • 3,003
    • -5.98%
    • 솔라나
    • 179,300
    • -4.88%
    • 에이다
    • 957
    • -5.43%
    • 이오스
    • 1,184
    • +16.19%
    • 트론
    • 349
    • -0.85%
    • 스텔라루멘
    • 381
    • -5.9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580
    • -5.36%
    • 체인링크
    • 19,320
    • -8.09%
    • 샌드박스
    • 380
    • -7.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