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포스트, 美법인 전문가 5인 영입…‘카티스템’ 북미 진출 본격화

입력 2024-12-06 09: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임상 개발 책임자 등 총 5개 주요직에 분야별 전문가 영입…내년 미국 임상 3상 신청

메디포스트는 무릎 골관절염 줄기세포 치료제 ‘카티스템®(Cartistem®)’의 북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해 미국법인(MEDIPOST, Inc.) 내 현지 전문가를 대거 영입했다고 6일 밝혔다.

카티스템은 2012년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받은 동종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로 현재까지 3만 명 이상의 환자에게 투약된 국내 최초의 첨단바이오의약품이다.

메디포스트 미국법인은 카티스템의 미국 임상3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및 향후 품목허가신청(BLA)에 집중하기 위해 △임상 개발 책임자(Head of Clinical Development) △CMC(화학·제조·품질) 및 운영 책임자(Head of CMC & Operations) △프로젝트 관리 책임자 (Head of Project Management Office) △품질 책임자(Head of Quality) △재무회계 책임자(Head of Accounting & Controller) 등 총 5개 주요직에 분야별 전문가를 영입했다.

이들 5인은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에서 최소 20년에서 3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전문가로서 임상3상 및 상업화를 여러 차례 성공시킨 실적을 갖고 있다.

에드워드 안(Edward Ahn)메디포스트 미국법인 공동대표는 “이번 현지 전문가 영입으로 카티스템의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한 성공 노하우를 확보했다”며 “카티스템의 성공적인 상업화를 통해 골관절염으로 고통받는 북미 환자들의 삶을 변화시키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메디포스트는 카티스템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사업개발 논의에도 한창이다. 올해 10월에는 미국과 일본에서 개최된 글로벌 콘퍼런스 및 바이오파마 복합 행사에 참석, 다수의 다국적 제약회사 및 바이오텍과 파트너링을 통한 사업개발을 논의했다.

메디포스트글로벌사업본부장 겸 미국법인 공동대표인 이승진 본부장은 “현재 관계회사인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전문기업 옴니아바이오(OmniaBio)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카티스템의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라며 “내년 미국 3상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에 차질 없게 하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김수현 "김새론과 5년 전 1년여간 교제"…미성년자 시절 교제 재차 부인
  • 의대생 돌아왔지만…교육부 “실제 수업 정상 참여가 복귀”
  •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최형록 “회생 인가 전 M&A 목표”
  • "결국 구기종목"…'골프공'이 골프채보다 비쌌다 [골프더보기]
  • 'NC파크 사망자 애도' KBO, 내달 1일 전 경기 취소…주중 창원 경기도 연기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987,000
    • +0.29%
    • 이더리움
    • 2,744,000
    • +0.81%
    • 비트코인 캐시
    • 454,300
    • +0.26%
    • 리플
    • 3,150
    • -2.17%
    • 솔라나
    • 187,500
    • -0.53%
    • 에이다
    • 985
    • -1.79%
    • 이오스
    • 939
    • +6.1%
    • 트론
    • 357
    • +3.18%
    • 스텔라루멘
    • 398
    • -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520
    • -1.23%
    • 체인링크
    • 20,370
    • -0.15%
    • 샌드박스
    • 408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