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이재명 ‘상왕 놀이’, 한국 경제‧정치의 최대 리스크”

입력 2024-12-17 13: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 시장, 17일 SNS를 통해 이재명 대표 비판

▲오세훈 서울시장이 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위원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오세훈 서울시장이 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위원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오세훈 서울시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두고 “이미 대통령이 된 듯 ‘상왕 놀이’에 심취한 이재명 한 명의 존재가 한국 경제와 정치의 최대 리스크”라고 비판했다.

오 시장은 17일 SNS를 통해 ‘입으로는 경제 살리기, 행동은 경제 죽이기’라는 글을 올리고 이 대표의 행보를 지적했다.

오 시장은 “이재명식 이중플레이가 도를 넘고 있다”며 “어제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을 만나 ‘대한민국을 저가 매수할 기회, 투자할 기회’라고 입에 발린 말을 하면서 뒤로는 기업의 숨통을 조이는 의회 폭거를 멈추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민주당이 일방 처리한 ‘국회증언감정법’ 개정안은 기업인이 해외 출장과 질병 시에도 국회에 원격으로 출석해야 하고 영업기밀까지 전부 국회에 제출해야 한다는 반기업, 반자본죽의적 내용을 담고 있다”며 “기업 투자 방지법이나 다름없다”고 꼬집었다.

오 시장은 “이재명 대표는 이번뿐이 아니라 금투세, 상법 개정안 등 줄줄이 이런 기만을 반복하는 게 부끄럽지도 않냐”며 “정국 불안정으로 경제와 외교적 리스크를 완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도 묻지마 탄핵 질주를 계속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거부권 행사를 하면 탄핵하겠다고 겁박하는데 경제 죽이기 법안을 그대로 통과시키면 그게 오히려 직무유기”라며 “과거 우리는 두 차례 탄핵을 겪었지만 경제는 정치와 분리돼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었다”고 했다.

이어 오 시장은 “경제가 정치의 볼모가 된다면 더 심한 위기가 올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경고하고 있다”며 “한덕수 총리는 정치적 협박에 굴복하지 말고 재의요구권을 당당하게 행사하라”고 제언했다.

오 시장은 “이 대표는 정말 경제를 생각한다면 국회로 돌아올 법안을 즉각 폐기하라”며 “입으로는 ‘경제 회복’을 말하고 뒤로는 기업을 옥죄는 앞 다르고 뒤 다른 이중플레이, 국민은 준엄한 눈으로 지켜보고 있다”고 경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210,000
    • +2.35%
    • 이더리움
    • 2,830,000
    • +3.55%
    • 비트코인 캐시
    • 459,700
    • +1.57%
    • 리플
    • 3,177
    • +1.4%
    • 솔라나
    • 188,300
    • +0.59%
    • 에이다
    • 1,006
    • +2.65%
    • 이오스
    • 1,012
    • +9.29%
    • 트론
    • 353
    • -0.84%
    • 스텔라루멘
    • 406
    • +2.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800
    • +1.31%
    • 체인링크
    • 21,040
    • +3.9%
    • 샌드박스
    • 409
    • +0.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