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드 “자회사, 이동형 무인로봇 NDT시스템 개발 완료…양산 체제 준비 중”

입력 2025-01-22 14: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디펜스코리아 이동형 무인로봇 NDT시스템 (사진제공 = 소니드-디펜스코리아)
▲디펜스코리아 이동형 무인로봇 NDT시스템 (사진제공 = 소니드-디펜스코리아)

소니드는 자회사 디펜스코리아가 이동형 무인로봇 방사선 비파괴검사(NDT)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 체제를 준비 중이라고 22일 밝혔다.

디펜스코리아 측은 사람이 수행하던 방사선 비파괴검사 업무를 로봇이 대신함으로써 방사선 피폭 위험을 낮추고, 검사 정밀도와 운영상 편의성을 높였다고 강조했다.

디펜스코리아 방사선비파괴검사 무인로봇은 폴란드 국영기업 피아프(PIAP) 로봇과 미국 회사의 X-레이 발생장치, DR 패널을 조합해 개발했다. 방사선 비파괴검사의 핵심 기술인 X-레이 발생장치는 펄스 X-레이 기술(Pulsed X-Ray Technology)을 통해서 매우 짧은 시간(최고 10~50나노초) 동안 고강도의 X-레이 펄스를 발생시킴으로써 검사 성능을 높였다.

비파괴검사는 검사 대상물인 구조물, 장비, 부품, 소재 등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구조물의 결함 유무를 파악해 대형사고와 파손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방사선 비파괴검사는 산업현장의 안전과 품질확보를 위한 필수 검사기술로서 원자력, 발전, 석유화학, 가스, 자동차, 건설 등 주요 산업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프레지던스리서치(Precedence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비파괴검사 시장 규모는 2024년 202억2000만 달러(약 30조 원)였으며, 2024년부터 2034년까지 연평균 10%의 성장률로 약 522억8000만 달러(약 76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디펜스코리아 관계자는 “기존 방사선 비파괴검사는 전문 인력의 피폭 문제, 이로 인한 규제 강화, 전문 검사 인력의 이탈 등 악순환이 반복됐다”며 ”글로벌 방사선 비파괴검사 시장의 주요 트렌드는 비파괴검사 기술의 첨단화와 고급화로 자동화, 원격 로봇, AI 솔루션 등의 접목이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사는 방사선 비파괴검사 분야에 무인로봇을 접목해 글로벌 시장을 주목할 것으로 기대된다“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멕시코 이어 캐나다 25% 관세도 한 달 유예
  • 현대차 노조까지 확전 가능성…통상임금 소송전 본격화
  • 비트코인, 관세 유예 합의에 껑충…10만 달러 복귀 [Bit코인]
  •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스페이스X 등 고객사 확보…“밀려드는 주문에 美 현지 증설”
  • 시즌 마지막 경기…'최강야구' 대학 올스타 잠실 직관전 결과는?
  • 오픈AI, 신규 상표 등록 신청…로봇ㆍ양자컴퓨터 포함
  • 이주은 치어리더 대만행, 계약금 4억?…그들을 막을 수 없는 이유 [해시태그]
  • 중국 ‘딥시크’, AI 성능은 인정받았지만…“그래서 데이터 유출 우려는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4 12:5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6,739,000
    • +2.91%
    • 이더리움
    • 4,383,000
    • +6.85%
    • 비트코인 캐시
    • 534,500
    • +7.03%
    • 리플
    • 4,232
    • +16.07%
    • 솔라나
    • 335,700
    • +4.71%
    • 에이다
    • 1,235
    • +15.53%
    • 이오스
    • 973
    • +9.33%
    • 트론
    • 353
    • +1.15%
    • 스텔라루멘
    • 567
    • +10.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700
    • +12.4%
    • 체인링크
    • 32,560
    • +13.37%
    • 샌드박스
    • 654
    • +14.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