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조 원대 부채에 연 4조 원대 이자 부담에 배당 가능성 작아
대한민국 대표 공기업인 한국전력이 국제 에너지 가격 정상화 및 꾸준한 전기요금 인상 효과 덕분에 지난해 연결 기준 8조 원대 영업이익이 예상되면서, 4년 만에 영업이익 흑자 달성이 기대된다.
다만, 배당 결정에 중요한 별도 기준 순이익 달성 여부는 미지수인 데다 200조 원대 부채에 따른 연 4조 원에 달하는 이자 부담도 여전해 2024회계연도 주주 배당 재개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보고서를 낸 증권사 실적 전망치(컨센서스) 집계 결과, 연결 기준 한전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2조9105억 원으로 예측됐으며, 작년 한 해 전체로는 8조8562억 원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전망된다.
전망치가 확정되면 한전은 연간 기준으로 2020년 이후 4년 만에 영업 흑자를 보게 된다.
앞서 한전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을 전후로 한 국제 에너지 가격 폭등 시기에 원가 밑으로 전기를 공급해 2021∼2023년 43조 원의 누적 영업 손실을 냈다.
한전 실적 개선 원인은 국제 에너지 가격이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되찾고, 한전의 심각한 재무 위기 상황 등을 고려해 전기요금을 꾸준히 올린 영향이 크다.
2022년 이후 지난해 10월까지 전기요금은 총 7번에 걸쳐 평균 50% 가까이 인상됐다. 이에 한전은 전기를 팔면 팔수록 손해를 보는 '역마진' 구간에서 벗어났고 올해부터는 다시 안정적 영업이익을 낼 수 있게 됐다.
다만, 한전의 재무위기는 여전하다.
별도 기준으로 보면 한전은 1∼3분기 약 8300억 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작년 4분기에 추가로 상당 규모의 순이익을 냈더라도 연간으로는 순손실 가능성이 있어 배당 가능성은 크지 않다.
한전이 주주 배당을 한 것은 2020회계연도가 마지막이다. 한전은 2021년 주당 1216원씩, 총 7806억 원을 배당했다.
또한, 200조 원대에 달하는 한전의 부채와 연간 4조 원대에 달하는 막대한 이자 부담도 한전의 정상적 배당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작년 6월 말 기준 한전의 연결 총부채는 202조8900억 원에 달했다. 대규모 부채로 한전은 2023년 한 해만 4조4500억 원을 이자로 지급했으며, 지난해 역시 이와 유사한 수준의 이자를 부담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한전은 이제 원금까지 대폭 갚으며 줄여 나가야 하는 부담도 안고 있다.
한전이 한시적으로 자본금과 적립금 합계의 5배까지 회사채를 발행할 수 있게 된 한전법이 2027년 일몰되고 다시 한도가 기존의 2배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한전 관계자는 "올해 배당 전망은 아직 확정된 바는 없으며, 2024년 결산 후 정부와 협의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