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미국 자동차 가격, 평균 440만 원 오를 것"

입력 2025-02-03 12: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평균 신차 가격 3000달러 인상 관측
멕시코 생산 미국 브랜드도 부과 대상

▲쉐보레의 중형 SUV 블레이저는 멕시코에 자리한 GM의 '라모스 아리즈페' 공장에서 생산한다. 미국 브랜드지만 25% 관세 부과 대상인 셈.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앞세워 미국 기업의 회귀를 노리고 있다.  (출처 미디어GM)
▲쉐보레의 중형 SUV 블레이저는 멕시코에 자리한 GM의 '라모스 아리즈페' 공장에서 생산한다. 미국 브랜드지만 25% 관세 부과 대상인 셈.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앞세워 미국 기업의 회귀를 노리고 있다. (출처 미디어GM)

미국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할 경우 현지 자동차 가격이 1대당 평균 3000달러(약 440만 원)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CNBC 등 미국 주요 매체에 따르면 트럼프발 관세전쟁 시작으로 미국 신차 가격이 평균 3000달러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대상은 한국차를 비롯해 일본ㆍ독일차는 물론, 멕시코와 캐나다에 공장을 둔 GM과 포드 등 미국 브랜드 역시 마찬가지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 등에 25% 관세를 공언했다. 이어 행정명령을 통해 2월부터 이를 공식화했다.

신차 가격의 25%를 관세로 부과할 경우, 소비자 판매 가격 상승세는 20~25%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가격 경쟁이 심화하면 제조사가 관세 인상분을 고스란히 차 가격에 반영할 수 없기 때문. 나아가 미국 현지 생산모델과의 가격 차이 역시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소형차의 경우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저렴한 멕시코 생산분을 미국으로 수출한다. 이 때문에 멕시코에 글로벌 주요 제조사의 조립공장이 확산했고, 멕시코 생산분이 한국의 연간 생산량(약 400만 대)을 앞서기도 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모빌리티는 1월 마지막 주 보고서에서 "시기와 관계없이 이런 포괄적 관세는 자동차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북미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어떤 제조업체나 공급업체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캐나다 또는 멕시코에서 2만5000달러짜리 차에 25%의 관세가 부과되면 차 가격에 6250달러의 상승 요인이 발생할 것으로 봤다. 이 비용이 모두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지는 않겠지만, 수입업체나 제조업체가 떠안지 못하는 부분은 가격 인상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CNBC와 비즈니스타임스 등은 월가 투자분석회사 울프리서치 보고서를 인용해 "신차 평균가격이 약 3000달러(약 440만 원) 상승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플라비오 볼페 캐나다 자동차 부품 제조사협회 회장은 "(25% 관세가 확정되면) 캐나다 자동차 산업은 일주일 안에 문을 닫을 것"이라며 "관세 25% 시대에서는 아무도 수익을 낼 수 없다"고 트럼프 정책을 비난했다.

아루나 아난드 콘티넨털 AG 북미 최고경영자는 CNBC를 통해 "문제는 누가 인상된 가격을 흡수하느냐에 달려 있다"라며 "제조사가 인상된 가격을 흡수할지, 아니면 인상분을 최종 소비자가 부담할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구준엽 아내' 서희원, 폐렴으로 별세…향년 48세
  • 이주은 치어리더 대만행, 계약금 4억?…그들을 막을 수 없는 이유 [해시태그]
  • 중국 ‘딥시크’, AI 성능은 인정받았지만…“그래서 데이터 유출 우려는요?” [이슈크래커]
  • "별들의 경쟁"…정상을 찍기 위한 매치 'KLPGA' [골프더보기]
  • 10년 사법 족쇄 푼 이재용… 이제는 '경영 올인'
  • 오늘은 '입춘'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입춘대길 건양다경 뜻은?
  • 오픈AI 샘 올트먼 방한...카카오와 협업 발표
  • 힘 받는 强달러…환헤지 ETF 투자한 개미들 '한숨'
  • 오늘의 상승종목

  • 02.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841,000
    • -1.71%
    • 이더리움
    • 4,157,000
    • -14.16%
    • 비트코인 캐시
    • 510,500
    • -18.32%
    • 리플
    • 3,820
    • -15.39%
    • 솔라나
    • 317,300
    • -5.06%
    • 에이다
    • 1,131
    • -18.46%
    • 이오스
    • 923
    • -18.82%
    • 트론
    • 354
    • -6.6%
    • 스텔라루멘
    • 533
    • -12.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50
    • -14.2%
    • 체인링크
    • 30,230
    • -15.27%
    • 샌드박스
    • 612
    • -17.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