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증시] 무역전쟁 완화 기대감에 강보합…닛케이 0.6%↑

입력 2025-02-06 16: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딥시크ㆍAI 충격에서 일부 벗어나
트럼프발 무역전쟁 완화 기대감↑

6일 아시아 증시가 강보합세를 형성했다. 일본 증시는 중국발 딥시크 여파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고, 중국 증시는 미국의 무역정책에 맞설 새로운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매수세를 끌어냈다.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장보다 235.05포인트(0.61%) 오르며 강보합 마감했다. 종가는 3만9066.53이었다. 기술주 중심의 토픽스는 전날 대비 6.79포인트(0.25%) 상승한 2752.20에 장을 마쳤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1.94포인트(1.30%) 오른 3271.43에 마감했다. 상하이와 선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도 45.43포인트(1.20%) 올라 3840.51에 거래를 마쳤다.

대만증시는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적었다. 가권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5.02포인트(0.67%) 오른 2만3316.60에 거래를 끝냈다.

오후 4시 15분 현재 홍콩증시 항셍지수는 전장보다 211.39포인트(1.03%) 오른 2만0808.72에 거래 중이다. 같은 시간 인도 센섹스는 전날보다 250.11포인트(0.32%) 내린 상태고, 싱가포르 ST지수는 0.34% 상승한 채 오후 거래를 시작했다.

이날 아시아 증시는 중국과 홍콩 증시가 1%대 상승세를 이어가며 강보합 거세를 보인 반면. 일본과 대만 증시는 0%대 상승세에 그쳤다. 닛산과 혼다의 합병 무상으로 관련 종목의 희비가 엇갈린 가운데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신호가 이어지면서 전체 종합지수는 보합권에 머물렀다.

다무라 나오키 일본은행(BOJ) 심의위원이 “내년 3월까지는 기준금리를 1%까지 인상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히자 중장기 투자와 채권시장이 움직였다.

대만 증시는 중국발 딥시크 충격에서 일부 벗어났다. 전날 라이칭더 총통이 민진당 주석 자격으로 당 중앙상무위원회에 참석해 AI 주권 구축 의지를 밝혔으나 시장의 영향을 제한적이었다.

중국 증시는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과 미국발 무역 전쟁에 대한 불안감이 충돌,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국 상하이증시는 올해 들어 –2.42%에 그쳐 있다. 여파를 받은 일본 닛케이도 –2.08%에 머물러 있다.

프랜시스 탠 CA-인더수에즈 아시아 수석전략가는 “주식 하락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채권 전환을 조언하고 있다”라며 “불확실성 수준이 작년보다 크게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한편,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1.1%와 1.8% 상승 마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5년차 예능인"…유느님이 사는 '브라이튼 N40'은 [왁자집껄]
  • '딥시크' 차단 부처 확산…대통령실 "애초 접속 금지", 국회 "아직 접속"
  • 뉴진스 하니 이후 또…故 오요안나는 근로자일까 [이슈크래커]
  • 전세계 주문 쏟아지는데…주 52시간에 멈춰선 삼성전자 [반도체, 韓생존 달렸다②]
  • 재건축에 토허제 해제까지…몸값 높인 목동신시가지, 매수인 줄 선다[르포]
  • 준우승과 준우승…‘무관의 역사’ 손흥민 굴욕 깰까? [해시태그]
  • "듣기 싫어요"…현대인의 무음방패 '노이즈 캔슬링' [데이터클립]
  • 2025년 혜택 업그레이드된 ‘청년도약계좌’로 목돈 마련해볼까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0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023,000
    • +0.58%
    • 이더리움
    • 4,424,000
    • +2.76%
    • 비트코인 캐시
    • 515,000
    • +0%
    • 리플
    • 3,807
    • -2.78%
    • 솔라나
    • 314,200
    • -1.07%
    • 에이다
    • 1,182
    • +1.03%
    • 이오스
    • 953
    • -1.14%
    • 트론
    • 355
    • +0.85%
    • 스텔라루멘
    • 525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150
    • -0.94%
    • 체인링크
    • 30,760
    • +0.95%
    • 샌드박스
    • 617
    • -1.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