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무역기술장벽 598건으로 33% 급증…미국 1위

입력 2025-02-09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친환경 차량 관련 규제 등 78건 통보…전년 대비 2배 늘어
정부 "산·학·연·관 협력 강화 및 기업 협력 구축 적극 대응"

▲파나마 파나마시티 외곽의 파나마 운하에서 싱가포르 컨테이너선이 통과하고 있다.  (파나마시티/로이터연합뉴스)
▲파나마 파나마시티 외곽의 파나마 운하에서 싱가포르 컨테이너선이 통과하고 있다. (파나마시티/로이터연합뉴스)

연초부터 세계 각국의 기술규제가 쏟아지고 있다. 특히 미국은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기술규제 건수가 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무역기술장벽(TBT·Technical Barriers to Trade)을 세웠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이 통보한 기술규제는 598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33% 급증하며 1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TBT는 국제 무역에서 국가들이 사용하는 기술적 규정이나 표준, 인증 절차 등이 무역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상품에 대한 규정이 국가마다 다를 경우 제조업자는 무역 상대국의 기술 기준 및 표준에 맞추기 위해 별도로 비용을 지출해야 하는데 이것이 무역 제한 요인으로 작용, 기술장벽이 된다.

WTO 회원국들은 TBT 협정에 따라 역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규정과 표준, 적합성평가 절차 등의 기술규제를 제·개정할 경우 WTO에 통보 의무가 있다.

지난해 연간 TBT는 4337건으로 2023년 4068건과 비교해 6%가량 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바 있는데 올해는 시작부터 기술규제가 급증하는 분위기다.

지난달 TBT를 국가별로 살펴보면 규제 선도국인 미국이 78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르완다(68건)와 케냐(51건), 탄자니아(48건) 등 동아프리카 공동체(EAC)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이 식품 관련 규제 등을 통보하며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21건으로 8위에 자리했다.

분야별로는 식의약품 분야(35.6%), 화학 세라믹 분야(15.9%), 전기 전자 분야(9.0%) 순으로 많은 기술규제가 통보됐다.

식의약품 분야에서는 식품 시험법 재개정, 라벨링과 의료기기 등에 대한 규제가 늘어 전년 동월 대비 63% 급증했다.

전기 전자 분야의 경우 미국을 중심으로 냉장고 등 가전기기에 대한 에너지 효율 규제가 늘은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편, 우리나라 수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10대 수출국 및 5대 신흥국을 일컫는 15대 중점국은 132건(22.0%)을 통보했다.

미국은 여전히 1위를 유지했는데, 친환경 차량 관련 규제 등 78건을 통보해 작년 동기(42건)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2, 3위를 차지한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식의약품 관련 규제가 대부분이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까지 추세를 분석해 봤을 때 올해는 무역기술장벽 증가세가 더욱 가파를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산·학·연·관의 협력을 강화하고 기업과 긴밀한 협력을 구축해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삐거덕대는 국정협의회…반도체법 다시 표류 위기
  • 무르익는 한동훈 재등판...숨은 걸림돌 ‘셋’
  • 하정우ㆍ김남길, '브로큰'으로 뭉쳤다…미스테리 곁들인 '복수 느와르' [시네마천국]
  • 정시 마지막 기회는...“추가합격·추가모집 잘 살펴보세요”
  • 태백·양주서 펼쳐지는 겨울 파티…홍성은 새조개 축제로 북적 [주말N축제]
  • “명문 학군 잡아라”…학군지 아파트 몰리는 수요자들
  • 예전만큼 타임머신 성능 안 나오네…신규 도입 시스템 혹평 받는 ‘문명7’ [딥인더게임]
  • 트럼프, 파나마 운하에 집착했던 진짜 이유
  • 오늘의 상승종목

  • 02.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771,000
    • +0.07%
    • 이더리움
    • 4,079,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500,000
    • +2.08%
    • 리플
    • 3,783
    • +3.08%
    • 솔라나
    • 315,400
    • +7.1%
    • 에이다
    • 1,080
    • +0.65%
    • 이오스
    • 941
    • +4.56%
    • 트론
    • 360
    • +1.69%
    • 스텔라루멘
    • 509
    • +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050
    • +2.69%
    • 체인링크
    • 28,600
    • +2.03%
    • 샌드박스
    • 597
    • +4.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