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칠성음료, 사상 첫 ‘매출 4조 시대’…전년 대비 24.8%↑

입력 2025-02-10 16: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영업익, 12.2% 감소한 1849억…주류부문 '새로' 중심 흑자전환

▲롯데칠성음료 로고 (사진제공=롯데칠성음료)
▲롯데칠성음료 로고 (사진제공=롯데칠성음료)

롯데칠성음료가 지난해 처음으로 연 매출 4조 클럽에 입성했다. 내수 부진 속 음료사업 전반 부진에도 불구하고 새로 등을 중심으로 주류사업이 흑자로 전환하면서 실적을 끌어올릴 것이다. 해외 수출도 상승세를 탔다.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4조245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4.8% 증가한 수치로 연 매출 4조 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2% 감소한 1849억 원으로 집계됐다.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한 9233억 원을 기록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15.6% 증가한 92억 원으로 예상 대비 선방했다. 부문 별로는 음료사업의 4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5.5% 감소한 4014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도 161% 급감한 -80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다만 스포츠음료의 경우 매출 규모가 2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류부문의 4분기 매출 역시 2.4% 감소한 1922억 원을 기록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91억 원으로 1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특히 주류사업 가운데서도 '새로'를 중심으로 한 소주부문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글로벌 부문의 4분기 매출 3099억 원으로 전년 대비 7.7%(+222억 원) 증가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104억 원으로 전년비 +592.6%(+125억 원)뛰었다.

롯데칠성은 올해 음료부문을 제로(Zero)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칠성사이다 제로 와 펩시 제로슈거 신제품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해외사업 역시 확대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롯데칠성 관계자는 "글로벌부문은 자회사 수익성 개선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급성장하는 신흥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고자 생산능력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보틀러(Bottler) 글로벌 사업 확장과 미국 등 선진시장 사업 확대도 기회 요소로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이재명 명언 모음Zip [데스크 시각]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후분양 장점 알지만”…수요자는 잔금 부담, 시공사는 미분양 우려에 ‘절레’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뉴욕증시, 파월 금리인하 ‘신중모드’에 혼조...나스닥 0.36%↓
  • 뉴진스 하니, 국내 활동은 어렵다?…어도어 비자연장 신청 거부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13:0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133,000
    • -1.86%
    • 이더리움
    • 3,941,000
    • -2.88%
    • 비트코인 캐시
    • 500,000
    • -1.19%
    • 리플
    • 3,644
    • -1.57%
    • 솔라나
    • 296,200
    • -2.98%
    • 에이다
    • 1,159
    • +1.67%
    • 이오스
    • 944
    • -3.28%
    • 트론
    • 363
    • -3.2%
    • 스텔라루멘
    • 478
    • -0.6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850
    • -2.89%
    • 체인링크
    • 28,030
    • -4.95%
    • 샌드박스
    • 578
    • -4.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