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국 등에 25% 철강 관세"…崔대행 "경쟁력강화 대책 마련·대미협의 추진"

입력 2025-02-11 17: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외경제현안간담회 주재
韓 등 3월12일부터 대미수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적용
"기존 조치계획 따라 대응…관세 피해기업 지원방안 마련"
"외교·안보라인 소통 넘어 민간차원 대미 접촉 지원 지속"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회 국무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회 국무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단행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조치에 한국도 포함된 데 대해 "철강 업계와 소통하면서 업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우리 업계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지만, 동등한 경쟁조건으로 기회요인도 존재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개별 업체별 상황, 타국 철강 제품과의 상대적 경쟁력에 따라 상이할 수는 있으나 미국 관세정책 변화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뿐만 아니라 상호 관세 부과도 예고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 백악관은 내달 12일(현지시간)부터 한국·일본·유럽연합(EU)·캐나다·멕시코 등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10일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트럼프 1기 정부 시절인 2018년 미국과 협상을 거쳐 대미 철강 수출에서 263만 톤 물량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받았지만 내달 12일부터는 모든 대미 철강·알루미늄 수출품에 25%의 관세가 적용된다.

최 권한대행은 "먼저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해 그간 준비한 조치계획에 따라 대응해 나가겠다"며 "불가피하게 피해를 입는 기업에 대해서는 필요한 지원 방안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철강 등에 대한 관세 조치 발효일인 3월 12일까지 시간이 있는 만큼, 우리 이익이 최대한 반영되는 방향으로 대미 협의도 추진하겠다"며 "일본, EU 등 우리와 유사한 상황인 국가의 동향을 파악하고 대응 방안을 함께 논의하겠다"고 했다.

최 권한대행은 "정부는 우리 기업의 이익을 보호하고 불확실성을 해소해 나가기 위해 트럼프 정부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구축하고 대외 정책공간을 넓히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외교·안보라인 소통뿐 아니라 민간 차원의 대미 접촉 지원도 지속해 미 신정부와 접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조만간 정부의 협조하에 20대 그룹 CEO로 구성된 경제사절단도 꾸려 방미길에 오르게 된다"며 "추가적인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 상호 관세 등 앞으로 있을 수 있는 미국 행정부의 추가적인 조치에 대해서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골프 입문, 어렵지 않아요"…적절한 클럽 고르기 [골프더보기]
  • 이재명 명언 모음Zip [데스크 시각]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후분양 장점 알지만”…수요자는 잔금 부담, 시공사는 미분양 우려에 ‘절레’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뉴욕증시, 파월 금리인하 ‘신중모드’에 혼조...나스닥 0.36%↓
  • 뉴진스 하니, 국내 활동은 어렵다?…어도어 비자연장 신청 거부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03,000
    • -1.96%
    • 이더리움
    • 3,960,000
    • -3.34%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3%
    • 리플
    • 3,646
    • -3.8%
    • 솔라나
    • 296,000
    • -4.42%
    • 에이다
    • 1,162
    • -3.41%
    • 이오스
    • 948
    • -4.15%
    • 트론
    • 363
    • -2.16%
    • 스텔라루멘
    • 478
    • -4.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950
    • -4.77%
    • 체인링크
    • 28,170
    • -5.31%
    • 샌드박스
    • 576
    • -7.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