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MSCI 편출 종목 예상보다 많아…레인보우·삼양식품·LIG넥스원 편입 주목”

입력 2025-02-12 09: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지수 정기 리뷰(점검)에서 예상보다 많은 종목이 편출된 가운데 리밸런싱에 따른 외국인투자자의 매도는 일시적 영향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월 리뷰 적용 후 MSCI 지수에 편입되지 않은 종목은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양식품, LIG넥스원 등이다. 이들은 다음 MSCI 리뷰에서 편입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12일 글로벌 주가지수 산출업체 MSCI가 발표한 2월 정기 리뷰 결과에 따르면 한국 스탠다드 지수에 신규 편입 종목은 부재했고, 삼성E&A, 엘앤에프, GS, 한미약품, 금호석유, 엔켐, 넷마블, SK바이오사이언스, 롯데케미칼, 포스코DX, LG화학우 등 11개 종목이 제외됐다.

이에 따라 한국 MSCI 스탠다드지수 구성종목은 기존 92개에서 81개로 감소했다. 이번 점검 결과는 이달 28일 종가 기준으로 리밸런싱될 예정이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지수 제외에 따른 매도 수요는 삼성E&A 1640억 원, 엘앤에프 1140억 원, GS 1020억 원 등 추정된다.

편입, 제외 종목 이외에도 유동비율, 주식 수 변경으로 높은 비중 변동이 예상되는 종목도 있다. SK이노베이션, 에코프로머티, NH투자증권의 비중은 증가하고, KT&G 비중은 감소할 것으로 봤다.

MSCI 지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주가지수로 주요 글로벌 투자의 벤치마크 역할을 한다. 분기에 한번 이뤄지는 정기 리뷰를 통해 전체 시가총액과 유동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지수 편입 종목을 조정한다.

지수에 편입되면 이 지수를 추종하는 글로벌 패시브(지수 추종) 자금의 유입을 기대할 수 있는 반면 편출되면 자금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이번 지수 내 비중 변동에 따른 종목별 패시브 변동 우려는 크지 않다고 예상했다.

한국은 작년 8월, 11월 리뷰 당시 리밸런싱 적용 후 신흥국 내 한국 비중 감소 폭이 예년 대비 컸다. 다만 작년에는 코스피 하락 폭이 깊어 주가 하락에 따라 신흥국 내 한국 비중 감소 폭도 컸던 반면, 올해는 연초 이후 MSCI 한국 지수가 반등 중이므로 리밸런싱에 따른 외국인 매도 역시 일시적일 수 있다는 판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이재명 명언 모음Zip [데스크 시각]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후분양 장점 알지만”…수요자는 잔금 부담, 시공사는 미분양 우려에 ‘절레’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뉴욕증시, 파월 금리인하 ‘신중모드’에 혼조...나스닥 0.36%↓
  • 뉴진스 하니, 국내 활동은 어렵다?…어도어 비자연장 신청 거부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14:5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277,000
    • -2.1%
    • 이더리움
    • 3,953,000
    • -3.61%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2.72%
    • 리플
    • 3,655
    • -3.66%
    • 솔라나
    • 296,900
    • -3.98%
    • 에이다
    • 1,163
    • -4.67%
    • 이오스
    • 952
    • -4.9%
    • 트론
    • 361
    • -2.7%
    • 스텔라루멘
    • 479
    • -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000
    • -4.45%
    • 체인링크
    • 28,100
    • -5%
    • 샌드박스
    • 576
    • -7.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