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수출 10대 기업 무역집중도 36.6%…6년 만 최대

입력 2025-02-12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4년 4분기·연간 기업특성별 무역통계
수출액 6837억 달러…전년比 8.1%↑
자본재 17.9% 증가…반도체·정보기기 등↑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반도체 수출 등이 강세를 보이면서 국내 수출액 상위 10대 기업 비중이 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및 연간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잠정)'에 따르면 2024년 수출액은 6837억 달러로 1년 전보다 8.1% 증가했다. 이는 수출기업 중 영리·비영리기업을 포함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5년 이후 역대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작년보다 수출액 증가 폭이 높았던 해는 2021년(25.7%)과 2017년(15.8%)이다.

기업규모별로 대기업은 IT부품 등 자본재를 중심으로 늘어 11.6% 증가했다. 중견기업은 화학공업제품 등 원자재에서 줄어 0.7% 감소했고 중소기업은 소비재, 자본재, 소비재 등이 모두 늘어 4.7%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전년대비 도소매업(-1.8%), 기타 산업(-3.4%)에서 줄었지만 광제조업(10.2%)에서 증가했다. 재화성질별로는 전년대비 원자재(-3.1%)에서 줄었지만 자본재는 IT부품, IT제품, 수송장비, 기계류 등에서 늘어 17.9%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를 비롯해 정보기기, 기타수송장비, 정밀기계 등이 자본재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수출액 상위 10대 기업의 무역집중도(수출액 비중)는 36.6%로 전년대비 1.8%포인트(p) 상승했다. 2018년(37.8%)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통화에서 "수출액 증가세는 대기업 위주로 심화하고 있다"며 "산업별로는 반도체에 집중됐고 석유화학과 자동차가 많이 줄었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에 반도체 수출이 몰리다 보니 그 영향이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위 100대 기업의 무역집중도는 65.5%로 1년 전보다 1.8%p 상승했다.

지난해 수입액은 6321억 달러로 1년 전보다 1.6% 감소했다. 기업규모별로 전년대비 중견기업(5.7%)에서 늘었지만 대기업(-2.7%), 중소기업(-4.3%)에서 감소했다. 산업별로 광제조업(-0.2%), 도소매업(-2.4%), 기타 산업(-8.1%)에서 각각 감소했다.

한편 지난해 4분기 수출액은 대기업(5.0%), 중소기업(5.9%)에서 늘어 1752억 달러로 전년 같은 분기보다 4.2% 증가했다. 수출기업 수는 6만9529개로 전년동분기대비 2.0% 늘었다.

지난해 4분기 수입액은 1599억 달러로 전년동분기대비 0.9% 증가했다. 대기업(-1.3%)에서 줄었지만 중견기업(11.6%)에서 수입이 늘었다. 수입기업 수는 15만5263개로 1년 전보다 3.2% 늘었다. 상위 10대 기업 무역집중도는 38.1%로 전년대비 2.9%p 상승했다. 2018년 3분기(39.4%)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다. 100대 기업 무역집중도는 0.6%p 오른 67.0%로 2023년 3분기(67.3%) 이후 5분기 만에 최고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골프 입문, 어렵지 않아요"…적절한 클럽 고르기 [골프더보기]
  • 이재명 명언 모음Zip [데스크 시각]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후분양 장점 알지만”…수요자는 잔금 부담, 시공사는 미분양 우려에 ‘절레’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뉴욕증시, 파월 금리인하 ‘신중모드’에 혼조...나스닥 0.36%↓
  • 뉴진스 하니, 국내 활동은 어렵다?…어도어 비자연장 신청 거부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03,000
    • -1.96%
    • 이더리움
    • 3,960,000
    • -3.34%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3%
    • 리플
    • 3,646
    • -3.8%
    • 솔라나
    • 296,000
    • -4.42%
    • 에이다
    • 1,162
    • -3.41%
    • 이오스
    • 948
    • -4.15%
    • 트론
    • 363
    • -2.16%
    • 스텔라루멘
    • 478
    • -4.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950
    • -4.77%
    • 체인링크
    • 28,170
    • -5.31%
    • 샌드박스
    • 576
    • -7.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