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주 생보협회장 "생명보험업계를 생애주기 케어산업으로"

입력 2025-02-12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2일 생명보험협회 신년 기자간담회 열려
변화 대응·신뢰 회복·새 성장동력 3대 전략
위기 넘어 도약으로…지속 성장 해법 모색
초고령사회·핀테크 도전…새 회계 연착륙도

▲김철주 생명보험협회 회장이 12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생명보험협회)
▲김철주 생명보험협회 회장이 12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생명보험협회)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은 12일 위기관리와 소비자 신뢰를 바탕으로 생명보험 산업의 미래 신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이날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어 “의지를 갖추고 최선을 다하면 불가능한 일이 없다는 의미의 사석위호(射石爲虎)의 자세로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회장은 “금리변동성 확대와 경기둔화 우려, 초고령화로 인한 시장포화 등으로 생보산업이 중대한 전환점을 맞고 있다”며 “기술혁신과 소비패턴 변화, 핀테크의 보험업 진출 등으로 산업 구조 자체가 재편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생보업계가 지속 성장하기 위해 △금융환경 변화 대응한 안정적 경영 지원 △제도 개선으로 소비자 신뢰 제고 △초고령사회 생보 역할 강화 및 맞춤형 신성장 동력 확보라는 세 가지 핵심 목표를 설정했다.

먼저 생보협회는 금융당국과 협력해 새 회계제도(IFRS17), 지급여력(K-ICS) 제도 도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험부채 평가 방식 변화, 자본 확충 부담을 완화하고 보험업계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한다. 보험사들이 공동재보험과 계약재매입을 활용해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도 추진할 예정이다.

생보협회는 보험사의 유동성과 리스크 관리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선진국 사례를 바탕으로 보험부채 할인율 적용방안을 마련해 금융당국에 건의할 예정이다. 할인율 조정은 보험사의 부채 부담을 완화하고 장기적인 경영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생보업계를 ‘전(全) 생애주기 케어산업’으로 확장하기 위해 소비자 친화적 제도 개선도 추진한다. 보험금청구권 신탁의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고, 치매신탁 등 생명보험과 연계한 신탁상품을 지속해서 개발할 계획이다.

생보협회는 고령층이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연금상품 개발을 지원하고, 장기간 연금을 받을 경우 세제 혜택을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연금보험 가입 활성화, 노후소득 보장 기능 강화 효과를 끌어낼 방침이다. 사망보험금 유동화를 통해 보험가입자와 유가족이 보험금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요양 및 실버주택 관련 사업도 확대한다. 규제 완화를 추진해 보험사들이 노인 돌봄 서비스와 주거 지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보험업과 요양 서비스를 결합한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체계를 구축한다.

해외시장도 적극적으로 개척한다. 고령화 문제를 먼저 경험한 일본과 보험 시장이 성장 중인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협력을 확대하고, 일본에서는 고령층 대상 보험 상품과 케어 서비스 모델을 벤치마킹한다.보험 판매수수료 개편이 시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실무기준을 마련하고 소비자 보호를 위한 규제 개선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김 회장은 “지금의 도전적인 환경이 오히려 생보산업의 새로운 성장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브ㆍ라이즈 동생 그룹이 벌써?"…엔터 업계 '카니발 효과'가 뭐길래 [이슈크래커]
  • '잠삼대청' 토허제 풀린다…재건축 단지 14곳은 제외
  • 인플루언서도 대치맘도 긁혔다…이수지가 꼬집은 대리수치 [해시태그]
  • "골프 입문, 어렵지 않아요"…적절한 클럽 고르기 [골프더보기]
  • 단독 오세훈, 김종인과 설연휴 회동...金 “대통령 하려면 결단해야”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544,000
    • -1.79%
    • 이더리움
    • 3,986,000
    • -2.4%
    • 비트코인 캐시
    • 504,000
    • -1.56%
    • 리플
    • 3,674
    • -2.29%
    • 솔라나
    • 298,700
    • -2.54%
    • 에이다
    • 1,197
    • -1.07%
    • 이오스
    • 970
    • -0.51%
    • 트론
    • 368
    • -2.13%
    • 스텔라루멘
    • 485
    • -3.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600
    • -3.09%
    • 체인링크
    • 28,230
    • -4.01%
    • 샌드박스
    • 584
    • -4.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