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과기부와 '선도형 R&D 성과확산 컨퍼런스' 개최

입력 2025-02-12 17: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성과 점검, 향후 발전 방향 논의

▲기획재정부. 조현호 기자 hyunho@
▲기획재정부. 조현호 기자 hyunho@

기획재정부는 1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공동으로 '선도형 R&D 성과확산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콘퍼런스는 선도형 연구·개발(R&D)로의 전환 과정에서 그간 성과를 되짚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총 3개 세션으로 구성됐으며 류광준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김동일 기재부 예산실장 등 관계부처 관계자와 학계·출연연·기업 등 각계 전문가 300여 명이 참석했다.

김동일 기재부 예산실장은 환영사에서 "지금은 딥시크 충격 등 메가 트렌드 변화로 글로벌 기술패권이 재편되는 변곡점으로 중대한 기회"라며 "추격자 위치에서 벗어나 선도형 R&D로의 도전과 혁신이 기회의 문을 여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연구 자율성과 창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나갈 계획"이라며 "현장에서도 원팀으로 신·도전적인 연구개발을 지속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부처별로 '2025년 R&D 투자전략과 핵심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기재부는 기존 추격형 R&D 체계를 선도형으로 전환하기 위한 주요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부처별로 R&D 주요 성과를 되짚고 올해 R&D 투자계획을 점검했다.

정부는 미래 도전형 R&D, 글로벌 플래그십 R&D 확대 등 R&D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도형으로 재편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3대 게임 체인저(AI·반도체, 첨단 바이오, 양자) 투자를 대폭 확대함으로써, 글로벌 G3 도약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방침이다.

또한 R&D 지원체계도 지속 혁신해 나가기로 했다. 기초연구는 전략적 기초연구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평가 시스템도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연구현장 중심의 맞춤형 제도개편도 함께 준비 중이다. 일몰제와 R&D 예타를 폐지함으로써 대형R&D 사업의 적기 추진을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부는 기초연구 개편에 대해 발표했다. 기초연구 본연의 목적인 ‘지식의 탐색과 확장’에 충실할 수 있도록 연구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젊은 연구자가 초기에 연구 현장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대학의 연구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대학 부설 연구소를 패키지(연구·시설·장비)로 지원하고 기초연구의 혁신성과 전략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기초연구와 새로운 분야의 탐색 연구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글로벌 기술패권 확보를 위해 역대 최고 수준인 5조7000억 원 규모의 R&D 예산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초격차·혁신도전, 디지털(AX)·친환경(GX) 전환, 공급망 안정 등 분야에 집중투자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정부의 선도형 R&D 대전환에 따라 보건의료 R&D 투자 방향을 마련하고 올해 보건의료 R&D를 추진할 계획이다.

전문가 패널토론도 진행됐다. 과학기술을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혁신성장을 견인하기 위한 AI-반도체, 첨단바이오, 탄소 중립 분야의 중점 투자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우리나라의 강점을 기반으로 분야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들이 제언했다. 또한 연구현장 기반 R&D 제도개선 토론에서는 R&D 예산편성에서부터 연구비 집행 및 연구 수행, 성과 확산까지 전 주기에 걸친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브ㆍ라이즈 동생 그룹이 벌써?"…엔터 업계 '카니발 효과'가 뭐길래 [이슈크래커]
  • '잠삼대청' 토허제 풀린다…재건축 단지 14곳은 제외
  • 인플루언서도 대치맘도 긁혔다…이수지가 꼬집은 대리수치 [해시태그]
  • "골프 입문, 어렵지 않아요"…적절한 클럽 고르기 [골프더보기]
  • 단독 오세훈, 김종인과 설연휴 회동...金 “대통령 하려면 결단해야”
  • 글로벌 빅파마 사로잡은 K바이오…빅딜‧공동연구 확대
  • 갤럭시 S25, 초기 대박 비결은… '가격·성능·AI' 삼박자
  • 빚에 의존하는 기업들…단기차입금 700조 육박 [기업 급전 경고등]
  • 오늘의 상승종목

  • 02.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63,000
    • -1.69%
    • 이더리움
    • 3,975,000
    • -2.33%
    • 비트코인 캐시
    • 501,000
    • -2.05%
    • 리플
    • 3,650
    • -2.61%
    • 솔라나
    • 297,000
    • -2.65%
    • 에이다
    • 1,200
    • +0.33%
    • 이오스
    • 964
    • -0.82%
    • 트론
    • 368
    • -1.08%
    • 스텔라루멘
    • 479
    • -4.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300
    • -2.95%
    • 체인링크
    • 28,050
    • -4.1%
    • 샌드박스
    • 580
    • -4.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