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이어 ‘자동차 관세’도 언급…긴장감 높아지는 車 업계

입력 2025-02-14 13: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반도체·자동차도 추가 관세 언급
철강 등 관세 부과로 원료비 부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각국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데 이어 자동차와 반도체에도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을 시사하면서 국내 완성차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특히 관세 도미노가 현실화될 경우 기업들은 원자재 비용 증가, 대미 수출 타격, 미국 내 투자 비용 증가 등 연쇄적인 문제를 겪을 공산이 크다. 기업들은 대미 협력 강화 등 미국과의 접점을 넓히고 있지만 뾰족한 대응책 마련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 무역과 관세(Reciprocal Trade and Tariffs)’라는 대통령 각서에 서명하면서 “미국은 다른 국가들이 부과하는 만큼 공정하게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자동차 관세도 곧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상호 관세는 상대국이 자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 수준과 동일하게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미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있어 대부분 분야에서 무관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비관세 장벽 등을 이유로 상호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앞서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예외나 면제 없이 25%의 관세를 부과한 것처럼, 대미 수출 흑자 규모가 큰 자동차에도 추과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커졌다.

자동차 분야에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 국내 기업들은 대미 수출 타격, 원자재 비용 등 여러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KB증권에 따르면 자동차에 10% 관세 적용 시 현대차와 기아의 영업이익은 연간 1조9000억 원, 2조4000억 원 줄어들게 된다. 철강 등에 관세 부과로 인해 원료 조달 비용이 늘어나면 수익성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완성차 기업들에는 미국 시장이 핵심적인 수출 시장인 만큼 관세 부과로 인한 영향력은 매우 클 것”이라면서 “다만 업계 내에서는 현 상황을 돌파할만한 뾰족한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 美 접점 늘려…“완성차 업계 고심 깊어질 듯”

▲현대차 기아는 10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캘리포니아시티 모하비주행시험장에서 설립 20주년 기념행사를 열었다고 13일 밝혔다. 정의선 회장과 호세 무뇨스 현대차 CEO가 관계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현대차)
▲현대차 기아는 10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캘리포니아시티 모하비주행시험장에서 설립 20주년 기념행사를 열었다고 13일 밝혔다. 정의선 회장과 호세 무뇨스 현대차 CEO가 관계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 현지 생산 확대, 대미 협력 강화 등 다각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는 국내 주요 기업 중 유일하게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100만 달러(약 14억7000만 원)를 기부했고, 그룹 계열사 현대제철은 미국에 대형 제철소를 신규로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최근 정의선 회장은 미국 출장길에 올라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골프 비즈니스’ 회동을 하기도 했다.

그룹은 현재 시범 가동 중인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공장의 본격적인 운영을 통해 미국 내 생산도 연간 100만대 수준으로 늘릴 방침이다. 최근 출시한 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이오닉 9’도 미국 판매용은 모두 HMGMA에서 생산하기로 했다.

다만 자동차가 관세 조치에서 면제될 가능성도 현재로선 존재한다. 마이크 존슨 미 하원의장은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자동차, 의약품 등 4개 품목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미국 공장 내에서 생산 라인을 늘리거나 자동차 분야에 추가 관세를 유예받아도 철강에 대한 관세 부과로 생산 원가가 상승하는 건 부담”이라면서 “단기적인 해결책이 있는 부분이 아니어서 장기적으로는 완성차 업계 내에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지금이 구매 적기” 불붙은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
  • 배우리 이베이 셀러 “NBA 카드 ‘덕질’하다 매출 1위 사업자 됐죠” [미니인터뷰]
  • “내 애인은 AI” 영화 ‘HER’는 이미 현실
  • '해리슨 포드'와 함께 돌아온 마블…새로 단장한 '캡틴 아메리카' [시네마천국]
  • 삼척서 열리는 정월대보름제…영암선 고구마 먹거리 잔치 [주말N축제]
  • “美 기업 추격 가팔라진다”…트럼프 관세 전쟁에 韓 반도체 ‘벌벌’
  • "금, 없어서 못 산다"…골드바 품귀 속 '금테크' 투자법은
  • 10년 기다림에 구름 인파…강서구 쇼핑성지 된 ‘전국 최대’ 트레이더스 마곡점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564,000
    • +0.69%
    • 이더리움
    • 4,082,000
    • -1.07%
    • 비트코인 캐시
    • 503,500
    • -2.42%
    • 리플
    • 4,153
    • +0.8%
    • 솔라나
    • 293,900
    • -2.42%
    • 에이다
    • 1,180
    • -2.72%
    • 이오스
    • 979
    • -3.07%
    • 트론
    • 359
    • +2.87%
    • 스텔라루멘
    • 526
    • -0.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250
    • -1.99%
    • 체인링크
    • 28,630
    • -2.78%
    • 샌드박스
    • 600
    • -2.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