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일·가정 양립에 앞장서는 기업들을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가족친화 인증기업’으로 선정해 세무조사 유예, 정부 지원사업 우대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며 “더 많은 기업이 일·가정 양립 환경 조성 및 문화 확산에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일·가정 양립 오찬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행사에는 최 권한대행과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 김성섭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등 관계부처 장·차관들과 정책수요자,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및 가족친화 인증기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최 권한대행은 “저출생 극복을 위해서는 일과 가정이 조화롭게 양립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수적”이라며 “정부는 이를 위해 저출생 대응 예산 대폭 확대, 결혼세액공제 신설 및 자녀세액공제 확대 등 재정·세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3일부터 시행되는 ‘육아지원 3법’을 통해 육아휴직, 배우자 출산휴가 등 추가적인 육아지원이 시행될 예정”이라며 “육아 친화적 문화가 좀 더 확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제도 수혜자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중소기업 근로자 자녀를 위한 돌봄시설 확충, 육아휴직 등에 따른 대체인력 지원 확대,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과 가족친화 인증기업에 대한 추가 혜택을 제안했다. 이에 관계부처 장·차관들은 개편되는 일·육아 지원제도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중소기업 공동직장어린이집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지방자치단체 및 신한금융지주 등과 협업해 대체인력 지원을 확대하고, 일·가정 양립 선도기업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 발굴을 위해 관계부처 간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답했다.
관련 뉴스
최 권한대행은 “2023년 합계출산율이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2024년에는 9년 만에 첫 반등을 보이는 등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났으나, 아직 일·가정 양립을 위해 개선할 부분이 많다”며 “오늘 나온 의견을 정책 수립 과정에 반영해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근로자들이 실질적인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