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고에…산산조각 난 월가의 중국 계획

입력 2025-02-17 16: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근 2년간 중국 노출액 5분의 1 줄어
2023년 4대 은행 중국 이익 3370만 달러에 불과
미 규제·중 경기침체·미중 무역전쟁 영향 등 타격

▲월가 전경. 출처 게티이미지
▲월가 전경. 출처 게티이미지
월가의 주요 투자은행(IB)들이 미국 당국의 규제, 중국의 경기침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 미·중 무역전쟁 등의 여파로 중국 시장에 대한 투자와 인력 규모를 대폭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약 5년 전 은행 시스템을 대외에 개방했을 당시의 낙관주의는 급랭했다는 진단이다.

17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월가 대형 IB들은 최근 2년간 대출, 거래, 투자 등 중국에 대한 노출액을 5분의 1가량 축소했다.

또 모건스탠리, 씨티그룹, JP모건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등 주요 글로벌 은행 4곳의 2023년 기준 중국 내 총 순이익은 3370만 달러(약 480억 원)에 그쳤다. 이는 2030년까지 총 90억 달러의 이익을 달성하겠다고 했던 진출 초창기 월가 전체 목표에 크게 못 미친다.

블룸버그는 외국 은행 중 어느 곳도 중국에서 의미 있는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알렸다. 가령 골드만삭스 증권 부문은 2023년까지 5년 동안 중국에서 6700만 달러의 순익을 냈는데, 이는 작년 한 해 동안 이 은행이 보고한 130억 달러가 넘는 글로벌 순익의 0.5%에 불과하다.

블룸버그는 “월가 은행들의 중국에서 퇴각 조짐이 최근 2년 동안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다”면서 “여러 차례의 구조조정을 거친 후,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더는 줄일 수 없을 정도로 인력을 감축했으며, 현재는 중국 규제 당국이 요구하는 최소한의 인력만 유지한 채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정부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중국 기업에 대한 투자 규정 강화하고 있으며 규정 또한 모호한 것이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중국 경제는 침체에 시달리고 있다. 그 여파로 중국 증시는 최근 4년 중 3년 동안 폭락했으며, 대규모 기업공개(IPO) 물량은 찾기 어렵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관세 전쟁이 발발하면서 양국의 긴장이 고조, 월가의 중국 사업 전망은 더욱 어두워지고 있다.

블룸버그는 “몇 년 전만 해도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회장이 중국 시장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하고, 골드만삭스가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 직원 수를 두 배로 늘리는 것을 구상했던 시기의 거침없는 낙관론과는 대조적으로, 지금의 분위기는 암울하다”면서 “이제 그러한 야심 찬 계획들은 산산조각 난 상태”라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트럼프 2기 한 달] 글로벌 경제, 무역전쟁 재점화에 ‘불확실성 늪’으로
  • 집안 싸움 정리한 한미약품, ‘R&D 명가’ 명성 되찾을까
  • 활기 살아나는 국내 증시…동학개미 '빚투'도 늘었다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MRO부터 신조까지…K조선, ‘108조’ 美함정 시장 출격 대기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800,000
    • +0.7%
    • 이더리움
    • 4,050,000
    • +0.25%
    • 비트코인 캐시
    • 479,800
    • +1.33%
    • 리플
    • 3,991
    • +4.92%
    • 솔라나
    • 255,000
    • +1.47%
    • 에이다
    • 1,158
    • +3.21%
    • 이오스
    • 957
    • +4.25%
    • 트론
    • 353
    • -3.02%
    • 스텔라루멘
    • 506
    • +2.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900
    • +1.34%
    • 체인링크
    • 26,910
    • +1.05%
    • 샌드박스
    • 550
    • +2.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