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빠진다" 얼어붙는 은행 기업대출 창구

입력 2025-02-18 15: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작년 기업 자금 조달 119.7조…1년 전보다 5조 감소
"은행 리스크 관리 강화…기업 규모 작을수록 힘들 것"

고금리·고물가 장기화에 탄핵 정국까지 겹치면서 지난해 기업의 자금조달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올해 상황이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점이다. 내수 침체가 지속되면 은행권의 리스크 관리 강화로 기업대출 창구가 얼어붙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18일 KDB미래전략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1∼11월 기준) 기업의 자금조달 규모는 119조7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124조7000억 원) 대비 5조 원(4.0%) 감소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은 33조9000억 원에서 46조4000억 원으로 36.8%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대기업대출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 전년대비 11.6% 증가한 278조8000억 원을 기록했다. 중소기업대출은 1047조7000억 원으로 전년 말과 비교해 4.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은행권이 건전성 관리에 나서면서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대출을 축소한 영향으로 보인다. 지난해 대출 등 간접금융 규모도 78조8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84조4000억 원)와 비교해 5조6000억 원(6.6%)가량 감소했다.

직접금융시장에서도 기업들의 자금조달 규모는 감소했다. 지난해 1~11월 중 기업의 직접금융규모는 전년동기(41조3000억 원)대비 4000억 원 감소한 40조9000억 원을 기록했다. 이 기간 회사채 발행 규모는 32조6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1조5000억 원 늘었으나, 주식발행 규모가 8조3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조9000억 원가량 준 데 따른 것이다.

올해 기업의 자금 수요는 경기 불확실성 대응을 위한 운영자금 확보, 설비투자 확대 등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기업금융시장 여건이 좋지 않다. 건설투자 부진과 수출 증가율 하락으로 국내 경제성장률 둔화 탓이다.

특히 간접금융시장의 경우 금리 인하로 인한 조달여건 완화에도 불구하고 기업 신용위험 확대와 은행권 리스크관리 강화 등으로 축소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기은 KDB미래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은 "경기 불확실성, 부채 부담 등으로 인해 중소기업 재무구조가 단기간 내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돼 은행권 리스크관리 기조 지속될 것"이라며 "건설업, 석유화학, 숙박 및 음식업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확대되는 점도 중소기업대출 증가를 제약하는 요소"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직접금융시장의 경우 금리하락에 따른 발행시장 여건 개선과 대형 기업공개(IPO) 대기 등으로 회사채, 주식발행은 완만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트럼프, 관세 시간표 앞당기고 목재도 추가…“전략비축유 빨리 채울 것”
  • 국정 1·2인자 대면 무산…韓 “국무회의, 흠결 있지만 판단은 사법부가 해야”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532,000
    • +1.51%
    • 이더리움
    • 4,070,000
    • +0.67%
    • 비트코인 캐시
    • 480,300
    • -0.21%
    • 리플
    • 4,011
    • +1.08%
    • 솔라나
    • 257,900
    • +2.3%
    • 에이다
    • 1,197
    • +5.46%
    • 이오스
    • 959
    • +3.12%
    • 트론
    • 363
    • -0.27%
    • 스텔라루멘
    • 513
    • +3.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700
    • +0.89%
    • 체인링크
    • 27,140
    • +1.65%
    • 샌드박스
    • 550
    • +1.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