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법적 토대 마련…고성장 가능"
전기차 둔화는 이차전지 기업에 '기회'

국내 친환경 기업이 도약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해상풍력 업계는 국회가 '에너지 3법'을 통과시키면서 기반을 마련했고, 이차전지 업계는 산업의 둔화를 반등의 계기로 삼을 전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1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산업자원특허소위원회에서 '에너지 3법'이 여야 합의로 통과됐다. 에너지 3법은 첨단 산업을 위한 에너지 확보를 골자로 하는 법으로, 전력망확충법과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 해상풍력촉진법을 일컫는 용어다.
전문가들은 이 중 정부 주도적 해상풍력 발전이 핵심인 해상풍력촉진법에 주목했다. 해당 법안으로 국내 해상풍력 기업이 법적 토대를 확보했고,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정부 주도하에 부처와 지자체 간 역할 통합, 인허가 단축 등 규제 완화를 통한 애로사항 해소 등의 내용이 해상풍력촉진법에 포함돼있다.
업계는 국내 해상풍력 시장이 2030년까지 연간 2기가와트(GW) 이상 고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현 정부의 2030년 해상풍력 누적 목표 설치량은 14.3GW인데, 현재는 0.2GW에 불과해 성장 폭이 높다. 14.3GW 기준으로 약 100조 원의 투자가 필요하며, 목표치는 차기 정부에서 상향될 가능성도 있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해상풍력촉진법 통과가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진 않지만, 산업 규제 완화와 육성을 위한 법적 토대는 매우 큰 의미가 있다"라며 "한국은 터빈을 제외한 하부구조물, 타워, 해저케이블, 단조품, 설치 선박, 설치 서비스 등 밸류체인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해상풍력촉진법은 산업 자체를 '붐업' 시킬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혜를 제일 많이 볼 수 있는 국내 기업은 SK오션플랜트로,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사업을 주로 담당하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이 크다"라며 "국내 해상풍력 시장이 개화하면 SK오션플랜트는 기존 대만에서 영위하던 하부구조물 시장을 국내로 들여올 수 있는데, 향후 국내 시장은 대만 시장보다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내다봤다.
한편, 친환경의 대표주자로 분류되는 이차전지 기업도 미국 시장에서 호재를 맞았다. 전기차 업황이 안 좋아진 점이 한국 기업에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트럼프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지에 근거한 전기차 보조금 폐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등의 이유로 후발 주자가 신규 진입에 어려움을 겪는 동안 선제 진출한 한국 기업이 이득을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현지에서 단독 공장 2개와 제너럴모터스(GM) 등 총 7개의 공장을 운영하거나 건설 중이다. SK온은 조지아에서 2개의 단독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 자동차 업체 포드와 배터리 생산 합작법인(JV)인 블루오벌SK를 통해 추가로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한 연구원은 "국내 이차전지 기업들도 트럼프의 정책 변수, 전기차 캐즘 장기화로 인한 전체적인 업황 둔화에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라며 "다만, 길게 보면 궁극적으로 이번 둔화가 선발 기업은 살아남고 후발 기업은 쇠퇴하는 옥석 가리기로 진행될 것이다"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