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제철은 탄소 배출을 줄인 고부가 제품 생산에 주력하며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힘쓰고 있다.
현대제철은 내년부터 ‘전기로·고로 복합 프로세스’로 탄소를 줄인 자동차용 강판 상업 생산에 들어간다. 전기로·고로 복합 프로세스는 기존 고로 제품 대비 탄소 배출을 약 20%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제철은 2020년 가동을 중단했던 당진제철소 ‘박판열연’ 공장을 탄소 저감 자동차용 강판 공장으로 전환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고부가 제품 자동차 강판으로 생산 품목을 바꿔 수익성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제철은 이를 위해 독자적인 탄소중립 생산 체계 ‘하이큐브(Hy-Cube)’ 기술을 적용할 방침이다. 하이큐브 기술은 신(新)전기로에 철스크랩과 직접환원철(DRI), 고로에서 생산한 쇳물 등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식이다.
관련 뉴스
생산 단계부터 탄소를 저감해야 하는 완성차 업체들에게 탄소 저감 자동차용 강판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소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자동차용 강판은 철강 제품 중 가장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꼽힌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해당 공장은 향후 자동차 강판과 같은 고급 강재를 생산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글로벌 자동차 소재 기업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현대제철은 지난해 생산한 자동차용 강판 500만 톤(t) 중 약 20%를 글로벌 완성차 기업(현대차·기아 제외)에 판매하며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현재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르노 등 글로벌 자동차사 25개 브랜드에 강판을 납품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향후 외부 판매 비중을 약 200만 톤까지 늘린다는 목표다.
또 기존 강판보다 강도를 20% 높이면서도 성형성을 확보한 3세대 자동차용 강판 개발도 최근 완료했다. 현대제철은 3세대 자동차용 강판 생산을 위해 설비 개조 및 증설을 추진하고 연내 상업 생산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