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뤄지고 엎어지고… 격동의 ‘K-원전’, 해외건설 목표 걸림돌 되나

입력 2025-02-24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체코 두코바니 원전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체코 두코바니 원전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해외 건설시장에서 원전 사업의 입지가 커지며 적극적 수주에 나섰던 ‘팀코리아’의 발걸음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24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다음 달로 예정된 체코 원전 사업 본계약의 지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7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두산에너빌리티와 대우건설 컨소시엄은 체코 두코바니와 테믈린에 1000㎿ 규모 원전 2기를 건설하는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총 사업비만 약 24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초대형 사업이다.

같은 해 11월 체코 원전 발주사 대표단이 한국에 방문해 협상과 기술 실사를 진행하며 최종 수주가 유력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그러나 이달 체코 유력 일간지 ‘리도베 노비니’가 “한국의 탄핵 정국으로 조기 대선 등이 진행되면 원전 계약 진행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보도하자 불안감이 증폭됐다.

계약 주체인 한수원은 사업이 무산될 일은 없다고 입을 모았다. 한수원 관계자는 “협상을 마무리 짓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체코 정부·발주사 등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공사인 대우건설 관계자는 “한수원이 본 계약을 하면 이후 한수원과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이라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약 20조 원 규모의 폴란드 원전 수주 계약도 불투명하다. 2022년 협력의향서(LOI) 체결 이후 폴란드 당국은 꾸준히 본계약 체결 가능성을 내세웠으나, 2023년 12월 정권이 교체되며 상황이 반전됐다. 도날드 투스크 폴란드 총리가 원전 아닌 신재생에너지로의 정책 전환을 추진하며 사업 축소를 예고함에 따라 전면 재검토 국면이 펼쳐졌다.

아직 폴란드 정부가 공식적으로 입장을 밝히지는 않은 상태다. 한수원 관계자는 “폴란드 신정부 출범 이후 사업 추진이 다소 지연된 것은 사실”이라며 “현재 폴란드 발주사의 명확한 의사 결정을 기다리는 중”이라고 말했다.

두 사업의 수주 금액만 24조 원으로, 지난해 총 수주 규모인 약 54조 원의 44%를 차지한다. 올해 정부가 올해 해외건설 시장 수주 목표치를 지난해(400억 달러) 대비 35% 증가한 500억 달러를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고려해 해외 원전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져야 하는 시점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본래 지난해 본계약 체결 예정이었던 체코 원전 사업이 올해로 넘어가며 국내 기업의 지난해 해외 수주 실적( 371억 달러)이 정부 목표를 넘지 못한 만큼 원전 사업 한 건 한 건의 영향이 커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30년 원전 등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한 전 세계 발전량은 2022년보다 3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발맞춰 글로벌 원전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김영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글로벌 인프라 투자가 늘며 해외건설 시장의 전반적 성장이 예상되지만, 날로 치열해지는 경쟁 환경에의 적응과 새로운 시장 루트 개발, 해외사업의 수익성 제고 등의 숙제는 여전하다”며 “단기적으로 시장을 크게 확대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수주고를 올리는 ‘양적 성장’에만 집중해 온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건설 대응책을 전면적으로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지원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기존 해외건설 산업은 대외환경에 취약해 등락을 반복해 왔다”며 “단기 현안에 대한 대응도 필요하지만, 내실을 다지기 위해 누적 수주고 2조 달러 시대를 바라보는 중장기적 계획과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충격의 바이비트 해킹 사태…비트코인, 9만6000달러 선으로 후퇴 [Bit코인]
  • 고물가에 싼 것만 찾는다…유통가 ‘초저가’ 전성시대[韓 과소소비사회 진입하나]
  • “불황 모르는 덕후 소비”…덕분에 웃는 홍대·용산 복합몰[르포]
  • [우크라 전쟁 발발 3년] 종전협상 ‘중대 분수령’...우크라 운명 어디로
  • 현대차 관세 위기에 떠오르는 ‘GM 동맹’…새로운 돌파구 될까
  • 미루는 취업·결혼·출산…미뤄진 경제 성장[청년, 모라토리엄을 외치다]
  • 김병환, 은행권에 또 경고 "대출금리 인하 반영해야"
  • 임영웅, 2월 '트로트가수 브랜드평판' 1위…2위 박지현·3위 이찬원
  • 오늘의 상승종목

  • 02.24 14:0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9,269,000
    • -1.98%
    • 이더리움
    • 3,955,000
    • -2.99%
    • 비트코인 캐시
    • 462,800
    • -4%
    • 리플
    • 3,629
    • -3.89%
    • 솔라나
    • 232,300
    • -7.78%
    • 에이다
    • 1,076
    • -4.95%
    • 이오스
    • 898
    • -5.07%
    • 트론
    • 354
    • -0.84%
    • 스텔라루멘
    • 468
    • -4.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950
    • -5.28%
    • 체인링크
    • 24,310
    • -7.43%
    • 샌드박스
    • 489
    • -6.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