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전쟁 발발 3년] 인구 급감에 트럼프 청구서까지 ‘첩첩산중’...우크라 전후 경제 어디로

입력 2025-02-24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2-23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경제 재건 기초체력 인구 급감
‘미국 식민지’ 삼으려는 트럼프, 최대 변수
전쟁 속 꾸준한 경제성장 등 희망적 부분도
EU 가입 시 경제적 안정성 확보
방산 중심 경제 발전·혁신 기대감도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지 3년 된 가운데 양국의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이 커져가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지 3년 된 가운데 양국의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이 커져가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 중심으로 시작된 종전 협상이 언제 어떤 형태로 결론이 날지 미지수지만 이미 우크라이나 안팎에서는 종전 이후 경제 회복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단기에 끝날 것이란 예상과 달리 전쟁이 3년간 이어지면서 우크라이나의 전쟁 비용은 급격히 불어났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해 8월 우크라이나의 신용등급을 ‘선택적 디폴트(채무불이행)’로 강등했다. 유로본드에 대한 이자 지급에 실패한 것은 물론 재정상태가 악화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최근 미국 싱크탱크 퀸시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국내총생산(GDP) 기준 누적액 1200억 달러(약 173조 원), 인프라 등 자본재 피해액은 1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문제는 장기간 이어진 전쟁 여파에 여러 인프라가 파괴된 것은 물론 경제 재건을 위한 기초체력이 약화할 대로 약화했다는 점이다. 당장 노동력 부족이 심각하다. 전쟁으로 낮아진 출산율과 군 입대 등으로 인한 남성 인구 감소, 해외 이주가 겹쳐 급격한 인구 감소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약 4200만 명대였던 우크라이나 인구는 지난해 7월 3580만 명으로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인구유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2031년 2890만 명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예상했다. 반면 국제노동기구(ILO)는 우크라이나가 종전 이후 재건을 위해 2032년까지 860만 명의 추가 노동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2023년 2월 4일(현지시간) 도네츠크 군 기지 인근을 정찰하고 있다. 도네츠크(우크라이나)/AFP연합뉴스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2023년 2월 4일(현지시간) 도네츠크 군 기지 인근을 정찰하고 있다. 도네츠크(우크라이나)/AFP연합뉴스
이런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경제 재건에 가장 큰 변수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우크라이나 측에 “지금까지 미국으로부터 받은 지원의 대가로 5000억 달러(720조 원)를 갚으라”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미국이 3년간의 전쟁 기간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금액은 1750억 달러 정도인데, 이에 대한 대가로 희토류를 포함한 광물자원뿐만 아니라 석유·가스 자원과 항만 등 인프라 등에 대한 미국의 우선권이나 독점적 권리, 지분 등을 보장하라는 것이다. 이를 두고 영국 텔레그래프는 “법적으로 영원히 우크라이나를 미국의 경제적 식민지로 삼는 것에 해당한다”고 꼬집었다.

종전 이후 우크라이나의 국경선이 바뀌게 되면 산업 지도도 바뀔 가능성이 있다. 러시아는 전쟁 이후 우크라이나 전체 영토의 18% 이상을 점령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미 우크라이나 제2 도시 하르키우 등 동부 지역에 있던 기업을 중심으로 1만9000개 기업이 전쟁을 피해 서부 지역으로 자리를 옮겼다.

여러 우려 속 기대되는 부분도 있다. 우크라이나는 전쟁 속에서도 국제사회의 지원과 곡물·천연광물 수출 등에 힘입어 꾸준히 경제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실질 GDP 성장률은 2023년 5%를, 2024년에는 4.2%를 기록했다. 올해에는 3% 넘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3만7000개의 기업이 신규 사업을 등록하는 등 활력 징후도 있다. 이를 토대로 유럽 경제공동체 유럽연합(EU)에 가입까지 이뤄낸다면 경제적 안전성도 구축할 수 있다.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는 “우크라이나는 EU가 핵심 광물로 선정한 34개 중 32개를 생산하거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어 투자 기회는 방대하다”면서 “현대전 경험이란 경쟁력을 토대로 드론 개발, 사이버전 전문가, 해커 등 방산 관련 산업이 혁신과 경제 회복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 대출금리 하락 '기대감'
  • MWC 출격하는 이통3사…AI 패권 경쟁 불붙었다
  • “불황 모르는 덕후 소비”…덕분에 웃는 홍대·용산 복합몰[르포]
  • "차세대 AI PC 시장 공략"…삼성D, 인텔과 협력 '맞손'
  • 토허제 해제 이후 '강남 3구' 아파트 평균 8% 올랐다
  • 50년 뒤 성장률 0.3%ㆍ나랏빚 7000조 돌파, 연금 2057년 고갈
  • '손흥민 8·9호 도움' 토트넘, 입스위치 꺾고 리그 12위 '유지'
  • 임영웅, 2월 '트로트가수 브랜드평판' 1위…2위 박지현·3위 이찬원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978,000
    • -0.94%
    • 이더리움
    • 4,138,000
    • +1.42%
    • 비트코인 캐시
    • 480,000
    • +1.24%
    • 리플
    • 3,768
    • -0.92%
    • 솔라나
    • 246,200
    • -2.96%
    • 에이다
    • 1,127
    • -1.31%
    • 이오스
    • 940
    • -1.05%
    • 트론
    • 362
    • +4.02%
    • 스텔라루멘
    • 487
    • -0.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900
    • -0.99%
    • 체인링크
    • 25,830
    • -1.3%
    • 샌드박스
    • 515
    • -1.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