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건설협회, ‘2025년 공공공사 발주계획 설명회’ 개최…국토부·발주기관 초청

입력 2025-02-24 14: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5 공공공사 발주계획 설명회 모습. (자료제공=대한건설협회)
▲2025 공공공사 발주계획 설명회 모습. (자료제공=대한건설협회)

대한건설협회는 회원사와 건설업계 임직원과 투자기관 등 관계자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공공공사 발주계획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설명회는 건설경기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영 애로를 겪고 있는 건설기업의 공공공사 수주전략 수립 등 경영 지원을 위해 마련된 자리다. 국토교통부와 산하 주요 4개 공공 공사 발주기관이 발표자로 참여했다.

국토부는 올해 58조2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도로·철도·항공 등 핵심 교통망의 적기 개통 지원, 역대 최대 규모인 25만2000가구 규모 공공 주택 공급 견인, 노후 SOC 및 생활환경 안전시설 개량을 통해 국민의 안전과 건설경기 회복을 도모한다.

이어 건설산업 활력 제고를 위해 공공공사의 공사비 현실화 개선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제도 개선 노력 및 PF 사업장의 신속 착공 지원 등을 위한 계획 등을 밝혔다. 이 밖에 올해 도로, 산업단지 진입도로, 철도, 신공항 등 47개 신규 SOC사업을 발주할 계획이다. 경기회복 및 활성화를 위해 기 추진 중인 국토교통부 SOC 사업들도 상반기에 약 70% 예산 집행 목표로 추진한다.

아울러 한국도로공사와 국가철도공단,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도 참석해 올해 발주계획을 설명했다. 발주 규모는 한국도로공사는 6조7907억 원, 국가철도공단은 6조3979억 원, 한국수자원공사는 2조3600억 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역대 최대 수준인 19조1239억 원이다. 4개 발주기관의 올해 신규 발주물량은 34조6725억 원 수준으로 전년 대비 1조7000억 원 늘어난 규모다.

한승구 회장은 “공공공사 발주계획을 해당 기관에서 직접 설명해 신뢰도와 이해도를 한층 높였다. 회원사 등 건설기업의 경영 애로 해소와 사업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중국서 신종 코로나 발견?…‘코로나19 시절’ 재공포감 [해시태그]
  •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 공사현장 교량 붕괴 사고…사고 원인은?
  • 대학생 근심 덜어주는 ‘국가장학금’, 올해부턴 수혜 대상 1.5배 확대…나도 대상일까? [경제한줌]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환율·가계부채보다 내수 먼저…한은 기준금리 2.75% 결정
  • 한은, 美 관세정책에 성장률 전망 1.5%로 ‘뚝’…통상갈등 격화시 1.4%도 전망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 오늘의 상승종목

  • 02.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005,000
    • -7.76%
    • 이더리움
    • 3,467,000
    • -11.94%
    • 비트코인 캐시
    • 411,500
    • -10.76%
    • 리플
    • 3,136
    • -13.18%
    • 솔라나
    • 197,700
    • -14.97%
    • 에이다
    • 949
    • -11.72%
    • 이오스
    • 779
    • -13.83%
    • 트론
    • 333
    • -7.76%
    • 스텔라루멘
    • 410
    • -11.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500
    • -7.44%
    • 체인링크
    • 21,120
    • -13.48%
    • 샌드박스
    • 419
    • -14.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