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이재명, 한국에서 가장 위험…계엄 등 극단적 수단 쓸 수도"

입력 2025-02-25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재명 정권 탄생 막기 위해 계엄 바다 건너자"
26일 저서 출간…본격적 정치 행보 재개 전망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해 12월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사퇴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4.12.16. (뉴시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해 12월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사퇴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4.12.16. (뉴시스)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는 26일 출간하는 저서 '국민이 먼저입니다'에서 "한국에서 가장 위험한 인물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라고 했다.

25일 출판사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한 전 대표는 "이재명 대표가 행정부까지 장악하면 사법부 유죄 판결을 막으려고 계엄이나 처벌 규정 개정 같은 극단적 수단을 쓸 수 있다"며 "이재명 정권 탄생을 막기 위해서 계엄의 바다를 건너자"고 제안했다.

저서에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인간적인 안타까움과 미안함도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한 전 대표는 "인간적인 괴로움이 컸지만, 정치인에게는 늘 국민이 먼저이기 때문에 사적 인연보다 공공선을 앞에 둘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3일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전 한 전 대표가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와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 내용도 포함됐다.

당시 한 전 대표는 "무슨 상황인가요"라고 물었고,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비상사탭니다 ㅠ"라고 답했다. 이후 한 전 대표가 "구체적으로 무슨 내용입니까"라고 재차 묻자 해당 관계자는 "최악"이라는 답장을 보냈다.

한 전 대표는 계엄 해제 이후 여권 전체의 혼란상도 자세히 기술했다고 출판사는 설명했다. 초기에는 윤 대통령도 '질서 있는 조기 퇴진'에 동의했지만, 어떤 이유로 기류가 바뀌고 결국 탄핵으로까지 흐르게 됐는지 그 과정도 상세히 담겼다.

이외에 한 전 대표는 계엄 14일 만에 당 대표직에서 쫓겨나듯 물러난 데 대한 성찰의 기록들도 담았다. 한 전 대표는 아쉬웠던 장면들에 대해 자신의 부족했던 점을 담담하게 인정하면서 성찰했다고 전해졌다.

출판사는 또 탄핵으로 인해 상처받은 지지자들에 대한 미안한 마음도 저서의 여러 곳에서 표현했다고 밝혔다.

한 전 대표는 저서 출간을 통해 본격적인 정치 행보를 재개할 예정이다. 여권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인용 시 열리는 조기 대선 출마를 염두에 둔 행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 공사현장 교량 붕괴 사고…사고 원인은?
  • “은행 지점 찾기 어렵네”…ATM 수도 ‘뚝’ [용두사미 대체점포]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환율·가계부채보다 내수 먼저…한은 기준금리 2.75% 결정
  • 한은, 美 관세정책에 성장률 전망 1.5%로 ‘뚝’…통상갈등 격화시 1.4%도 전망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 움츠렸던 삼성 '엑시노스' 재시동… 폴더블폰 첫 탑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5 14: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132,000
    • -4.45%
    • 이더리움
    • 3,631,000
    • -8.24%
    • 비트코인 캐시
    • 425,000
    • -8.48%
    • 리플
    • 3,313
    • -8.71%
    • 솔라나
    • 203,200
    • -12.71%
    • 에이다
    • 993
    • -7.8%
    • 이오스
    • 814
    • -10.06%
    • 트론
    • 351
    • -1.13%
    • 스텔라루멘
    • 433
    • -7.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840
    • -6.49%
    • 체인링크
    • 22,000
    • -9.58%
    • 샌드박스
    • 434
    • -11.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