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석방…與 잠룡들 행보 주목

입력 2025-03-09 10: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핵심지지층서 탄핵 반대 목소리 커져…당내서도 동조
김문수·홍준표 등 ‘탄핵반대파’ 부담 덜할 것 보여
한동훈·오세훈 등 ‘탄핵찬성파’는 딜레마 빠져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서 차에서 내려 지지자들에게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2025.3.8. (연합뉴스)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서 차에서 내려 지지자들에게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2025.3.8.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석방과 관련해 국민의힘 내 대권 주자들의 행보가 주목된다. 윤 대통령의 관저 복귀로 인해 주자들 입장에서는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움직임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전날 오후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체포된 지 52일 만에 서울구치소를 나와 관저로 복귀했다. 윤 대통령의 복귀에 따라 여권 핵심 지지층들 사이에서는 탄핵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당내에서도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 중심으로 탄핵 각하를 외치고 있다.

친윤계 중진인 김기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일부 헌법재판관들은 정치놀음에 빠져 국민이 선출한 대통령을 임명직에 불과한 자신들이 어찌해볼 수 있다는 미몽에서 깨어나, 법치주의 원칙으로 돌아가 ‘청구인적격 흠결’이 명백한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청구를 하루속히 각하하는 것만이 흔들리는 사법 신뢰를 회복하는 길임을 잊지 말라”고 경고했다.

나경원 의원도 전날 “무너진 헌정질서와 법치, 듀 프로세스(due process·정당한 절차) 원칙을 하나하나 다시 세워야 한다”며 “헌법재판소의 (탄핵) 각하 결정으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 법치주의를 다시 세우자”고 주장했다.

이처럼 탄핵 정국 속 변수가 발생하면서 대권 주자들의 조기 대선에 대한 언급도 조심스러워질 전망이다. 다만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혀 온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등의 경우 부담이 덜할 것으로 보인다. 김 장관과 홍 시장은 윤 대통령 구속 취소 발표 후 기존 입장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내고 있다.

여권 대권 주자 중 지지율 선두를 달리고 있는 김 장관은 7일 법원의 윤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이 나오자마자 “매우 올바른 결정”이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엔 헌재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변론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며 “결단을 요구한다”고 헌재를 압박하기도 했다.

홍 시장은 자신의 정치 플랫폼인 ‘청년의꿈’에 올라온 ‘윤 대통령이 석방됐다. 원칙적으로 취소가 돼야 하는 건 맞는데 중도층과 홍 시장에게 악재가 될까 두렵다’는 말에 “그건 악재 여부를 계산할 때가 아니다. 바른 결정을 한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탄핵 찬성파로 분류돼 온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 등은 행보가 한층 조심스러워 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 전 대표와 오 시장이 각각 윤 대통령의 구속 취소에 대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법원의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지만, 지지층을 의식한 메시지라는 해석이 나왔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법원의 윤 대통령 석방 결정과 헌재의 탄핵 심판은 전혀 관계가 없다. 그러나 일반 국민적 시선에서는 윤 대통령이 석방된 것이 죄가 없으니까 나왔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라며 “탄핵을 찬성했던 주자들은 석방과 탄핵 심판이 개별적 사안이라는 것을 어떻게 보여주느냐가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신 교수는 그러면서 “다만 솔직히 확실한 방법은 없다. (탄핵 찬성 주자들이) 딜레마에 빠진 것”이라며 “상황이 복잡해질 것 같다”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김수현 "김새론과 5년 전 1년여간 교제"…미성년자 시절 교제 재차 부인
  • 의대생 돌아왔지만…교육부 “실제 수업 정상 참여가 복귀”
  •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최형록 “회생 인가 전 M&A 목표”
  • "결국 구기종목"…'골프공'이 골프채보다 비쌌다 [골프더보기]
  • 'NC파크 사망자 애도' KBO, 내달 1일 전 경기 취소…주중 창원 경기도 연기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571,000
    • -0.03%
    • 이더리움
    • 2,734,000
    • +0.48%
    • 비트코인 캐시
    • 454,300
    • +0.33%
    • 리플
    • 3,138
    • -2.43%
    • 솔라나
    • 187,300
    • -0.53%
    • 에이다
    • 981
    • -2.1%
    • 이오스
    • 932
    • +5.43%
    • 트론
    • 356
    • +2.59%
    • 스텔라루멘
    • 397
    • -1.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410
    • -1.45%
    • 체인링크
    • 20,320
    • -0.39%
    • 샌드박스
    • 407
    • +0.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