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 저에요"…URL 함부로 눌렀다가 털린다

입력 2025-03-31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점점 고도화되는 스미싱·큐싱 수법
지인 연락처 악용해 악성 URL·QR코드 유포
"지인 문자라도 URL 절대 클릭 말아야"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악성 URL이 담긴 문자를 통해 금전을 갈취하는 '스미싱' 범죄 수법이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 주소(URL) 차단 기술을 우회하기 위해 전화를 걸어 일반 대화로 위장하거나 지인 연락처로 유해 URL이 담긴 문자를 보내는 수법이 유행하고 있다.

31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올해 1~2월 스미싱 사칭 탐지 건수는 총 40만 9587건이다. 1월 16만 5005건, 2월 24만 4582건이다. 유형별로는 계정 탈취 유형이 많았다. '로맨스 스캠' 등 2차 범죄에 활용하기 위해 텔레그램, 인스타그램 등을 탈취하는 수법이다. 이어 △공공기관 사칭 15만 8744건 △지인 사칭 3만 1737건 △택배 사칭 416건 △기타 50건 △금융 사칭 8건 순으로 많았다.

최근 스미싱 공격 전략은 단순 URL 배포를 넘어 전화 통화를 유도해 정상 원격 제어앱을 설치한 뒤 악성 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전화하고 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특정 앱을 설치하고 인증 번호를 알려주면 확인을 도와주겠다는 방식이다. 마일리지 쿠폰 등으로 위장한 QR코드를 전달해 악성앱을 설치하는 수법도 있다.

마일리지 QR코드 전달 방식의 경우, 첫 번째 피해자가 주변인들에게 쿠폰 배포를 유도하는 식으로 2차 피해를 유발한다. 지인이 보낸 QR코드, 쿠폰 등을 쉽게 믿고 내려받았다가는 악성 앱에 감염될 수 있다.

스미싱 문자의 경우, 계절별 유행을 타기도 한다. 결혼이 많은 3~5월에는 청첩장을 사칭한 링크가, 10~12월에는 부고장을 사칭한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이미 해킹된 번호를 활용해 지인에게 스미싱 문자를 보내는 방식으로 2차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늘었다.

김은성 KISA 스미싱대응팀장은 "최근에는 모르는 번호 문자가 아니라 실제 지인 연락처를 통해 스미싱 문자가 오는 경우가 있다"면서 "실제 어떤 개인이 이미 피해를 입었고 그 사람 핸드폰 연락처를 통해 문자를 유포한다"라고 말했다.

의심되는 스미싱·QR코드인 경우 KISA에서 운영하는 스미싱·큐싱 확인 서비스를 통해 판정을 받을 수 있다. 카카오톡에서 보호나라 채널을 추가한 뒤, 의심되는 스미싱 문자나 QR코드를 전송한 뒤 안전한지 판단을 받을 수 있다.

김 팀장은 "지인에게서 온 문자 메시지이더라도 문자 메시지에 있는 URL을 아예 클릭하지 말고, 앱도 구글, 애플 공식 스토어에서만 설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413,000
    • +2.69%
    • 이더리움
    • 2,838,000
    • +4.15%
    • 비트코인 캐시
    • 461,300
    • +2.26%
    • 리플
    • 3,179
    • +1.79%
    • 솔라나
    • 188,500
    • +0.8%
    • 에이다
    • 1,009
    • +3.17%
    • 이오스
    • 1,019
    • +10.04%
    • 트론
    • 353
    • -0.84%
    • 스텔라루멘
    • 406
    • +2.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640
    • +0.97%
    • 체인링크
    • 21,090
    • +4.61%
    • 샌드박스
    • 410
    • +1.49%
* 24시간 변동률 기준